한글과컴퓨터는 한/글로 작성된 HWP문서를 PDF로 완벽하게 변환하도록 지원하는 '한/글PDF 컨버터'를 출시한다고 6일 밝혔다.
어도비 아크로바트만으로도 PDF문서전환이 가능하지만 서체나 도표 등을 똑같이 전환시키기에는 어려움을 겪어왔지만 한/글PDF 컨버터를 사용하면 완벽한 문서 전환이 가능하다는 것.
한경닷컴 한정진기자 jjhan@hankyung.com
<1월 27일 월요일> 주말 사이 중국 저비용 AI '딥시크'(DeepSeek)의 공포는 월가 전체로 퍼졌습니다. 27일(미 동부시간) 아침 장외 거래부터 엔비디아가 10% 넘게 폭락하는 등 AI 투매가 발생했습니다. 엔비디아는 17% 하락, 시가총액 6000억 달러가 사라졌습니다. 넷플릭스(4150억 달러) 시총보다 훨씬 큰돈입니다. 다행히 전체 시장은 잘 버텼습니다. 다우 지수는 올랐고, S&P 11개 업종 중 6개가 상승했습니다. AI가 저비용으로 가능하다면 소프트웨어엔 유리할 것이란 해석이 나왔고요. '딥시크'가 알려진 것보다 많은 AI 칩을 썼을 것이란 추측도 이어졌습니다. 주말 사이 미국과 콜롬비아 사이에 관세 전쟁도 '짧게' 벌어졌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추방되는 불법이민을 받지 않겠다는 콜롬비아에 '관세 폭탄'을 위협했고, 9시간 만에 항복을 받아냈습니다. 관세 위협을 휘두를 것이란 점은 부정적이지만, 아직 '협상 도구'로만 쓰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입니다. 딥시크 앱은 주말 사이 챗GPT를 제치고 미국 애플 앱스토어 무료 앱 다운로드 순위에서 1위에 올랐습니다. 구글 제미나이도 그런 적이 없습니다. 추론 AI 모델인 딥시크-R1 시리즈를 출시한 지 일주일만입니다. 개발비용이 600만 달러도 안 되는데, 성능은 오픈AI 'o1'와 비슷하다는 사실은 충격을 줬습니다. 앤트로픽의 다리오 아모데이 CEO는 최근 "일부 모델을 훈련하는 데 드는 비용이 10억 달러에 가까워지고 있다"라고 말했었죠. 유명 벤처 투자자인 마크 앤드리슨은 "AI의 스푸트니크와 같은 순간"이라고 말했습니다. 냉전 시대 우주개발 경쟁을 벌이던 옛 소련이 미국에 앞서 인공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의 역습에 미국 증시가 공포에 질렸다.딥시크의 서비스가 훨씬 적은 비용으로도 오픈AI의 챗GPT에 맞먹는 성능을 갖췄다는 소식에 AI 관련주를 겨냥한 과격한 투매가 나타났다. 시가총액 1위 엔비디아는 하루 만에 시총이 약 6천억달러(약 862조원)나 증발했다.다만 기술주 위주로 투매가 이어지면서 전통 산업과 가치주의 안전자산 매력이 부각돼 블루칩 지수는 오히려 상승했다.27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89.33포인트(0.65%) 오른 4만4713.58에 거래를 마감했다.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88.96포인트(1.46%) 떨어진 6012.28, 나스닥종합지수는 612.47포인트(3.07%) 급락한 1만9341.83에 장을 마쳤다.그간 뉴욕증시에는 AI 산업을 둘러싼 '미국 예외주의'가 있었다. 전 세계에서 현재 수준의 AI를 구현할 수 있는 기업은 미국에만 있기 때문에 주가에 AI 프리미엄을 더 얹어야 한다는 논리였다.딥시크의 등장은 이 같은 프리미엄이 허상이었다는 점을 일깨운 사건이었다.미국과 영국 등 서구 언론은 딥시크가 거대언어모델(LLM) 훈련에 사용한 그래픽처리장치(GPU)의 규모와 비용이 미국 빅테크들과 비교해 훨씬 적었다며 극도의 효율성을 보여줬다고 지난주 집중 보도했다.이는 마이크로소프트를 비롯한 주요 기술기업이 AI 투자에 불필요한 낭비를 한 게 아니냐는 의구심을 자극했다.뉴욕타임스(NYT)는 지난주 기사에서 딥시크가 딥시크-V3 개발에 투입한 비용은 557만6000달러(약 78억8000만원)에 그쳤다고 전했다.이는 메타가 최신 AI 모델인 라마(Llama)3 모델에 'H100'으로 훈련한 비용의 10분의 1 수준이다. H800은 미
2022년 영업이익 231억원→2024년 5910억원(추정치).2년 만에 실적이 눈에 띄게 개선됐다. 증권사 추정치가 맞는다면 2년 만에 영업이익이 25배 넘게 뛴 것이다. 이 회사는 코스피 시가총액(28일 1조3846억원) 194위 금호타이어. 한국, 중국, 미국, 베트남에 위치한 8곳의 타이어 생산공장을 거점으로 글로벌 생산체계를 구축하고 있는 글로벌 타이어 제조·판매 기업이다. 해외 10개의 판매 법인, 13개 해외지사·사무소에서 국가별 특수성에 부합하는 마케팅 전략을 실행하며 제품을 판매 중이다. 또 국가별 연구개발(R&D) 센터 운영을 통해 자동차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술력과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영업이익 2년 만에 25배 넘게 뛴 금호타이어금호타이어의 모태는 1960년 9월 박인천 금호아시아나그룹 초대 회장이 설립한 삼양타이어공업에 뿌리를 두고 있다. 삼양타이어공업은 1973년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된 후 1984년 금호실업에 합병되면서 금호타이어 부문이 됐고 브랜드 이름도 금호타이어로 변경됐다. 1990년 해외 기술센터를 열면서 글로벌 톱10에 진입한다.1990년 미국 오하이오주에 처음으로 해외 기술센터를 연 이후 1996년 국내에서 유일하게 항공기 타이어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자체적으로 개발하고 2002년 국내 첫 포뮬러3 공식 타이어로 선정됐다. 지금의 금호타이어 법인은 2003년 설립됐는데 당시 금호실업에서 타이어 사업 부문이 물적분할돼 2005년 한국과 런던 증시에 동시 상장됐다.세계적인 수준의 타이어를 개발하기 위해 글로벌 R&D 네트워크를 구축해 운영 중이다. 국내외 연구센터를 통합 관리하는 중앙연구소는 글로벌 R&D 네트워크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며 KPC(K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