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시 양남면의 월성원전 1호기의 지반(地盤)이 과거 부등침하(不等沈下)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자 경주 시민들과 시민단체가 원인규명과 안전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나섰다. 경주시 양북면 주민 이모(40.자영업)씨는 "원전 지반이 부등침하했다면 발전소 운영과 전력 생산뿐 아니라 유사시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없는지 철저히 점검해야 한다"며 "주민들이 불안하지 않도록 정부가 적극 나서달라"고 요구했다. 지역 시민단체 관계자는 "정부는 월성원전 주변 수렴단층과 읍천단층 등 활성단층 가능성이 있는 곳에 대해 역학조사를 실시해야 한다"면서 "지반 부등침하의 원인이 정확히 밝혀지고 이에 따라 안전대책이 강구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원전을 운영하는 한국수력원자력㈜은 "지난 70년대 후반 원자로 건설 때부터 하부 4개 방향에 자동계측기를 설치해 정기적으로 부등침하량을 측정ㆍ평가하고 있다"며 "측정결과 처음 수년간 안정화 단계를 거친후 80년대 중반부터 변동이 없는 상태를 보여 원전의 안전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평가한다"고 해명했다. 또 "지속적인 감시를 통해 이상징후 포착시 정밀 안전성 평가를 실시해 안전성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한수원㈜이 최근 한나라당 김영춘 의원에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월성원전 1호기 지반이 첫 조사시점인 78년 이후 서쪽은 11.17㎜ 내려 앉았고 동쪽은 3.63㎜ 침하해 서쪽으로 7.54㎜ 기운 것으로 나타났다. (경주=연합뉴스) 홍창진 기자 realism@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