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1테러가 발생한 지 1년이 지났다. 테러는 그 어느 분야보다 경제에 심대한 영향을 미쳤다. 테러 이후 가장 관심을 모았던 것은 미국을 포함한 세계경제에 테러가 과연 독(毒)이 될 것인가,약(藥)이 될 것인가 하는 점이었다. 이 문제는 테러발생 직후 세계적인 논쟁거리가 될 만큼 현안이었다. 물론 평가기간을 어디까지 설정하느냐에 따라 달리 해석될 수 있으나 테러는 미국경제에 어느정도 약이 됐다는 평가다. 테러가 발생한 지난해 3·4분기 미국 경제성장률은 마이너스 1.3%까지 떨어졌으나 4·4분기에는 0.2%,올 1·4분기에는 5.1%로 높아졌다. 올 2·4분기 성장률이 1.1%로 떨어지면서 미국경제가 재둔화에 빠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으나 테러에 따른 영향만은 아니다. 오히려 미국기업들의 분식회계 파동이 2·4분기 이후 증시에 영향을 미치면서 나타난 결과로 해석하는 것이 올바른 인식이다. 테러가 경제성과에 약이 된 이면에는 많은 비용을 치른 점도 있다. 대표적으로 재정사정이 악화된 점이다. 올 회계연도에 미국의 재정적자는 1천6백50억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테러 복구를 위한 재정지출이 많았기 때문이다. 경제시스템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최소한 미국 경제시스템은 지난 1년간 계속된 추가 테러 위협과 대응과정에서의 경제정책,기업활동,국민생활 등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한마디로 테러 이후 지금까지 미국경제는 '테러·전시경제체제'로 볼 수 있다. 백업시스템에 대한 중요성을 일깨워 줬던 것도 커다란 영향이다. 테러 이후 국제신용평가기관들은 백업시스템의 확보여부를 새로운 평가기준으로 삼았다. 각국들은 테러 등으로 경제의 원(原)시스템이 붕괴됐을 경우 발생하는 혼란을 예방하기 위해 백업시스템을 구축하기에 부단히 노력해 왔다. 경제협력의 필요성이 강조된 것도 중요한 변화다. 9·11테러를 계기로 테러와 세계경기 동반침체를 방지하기 위해 각국간 협력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특히 테러집단을 지구상에서 몰아내기 위해서는 테러집단에 유입되는 돈세탁 자금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를 위한 각국간의 협력이 불가피했기 때문이다. 정부의 역할에도 커다란 변화가 일어났다. 다시 말해 정부가 경제에 될 수 있는 데로 간섭하지 말아야 한다는 '작은 정부론'에서 테러와 같은 비상사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을 어느 정도 인정해 줘야 한다는 '큰 정부론'이 국민들로부터 힘을 얻었다. 경제정책의 무게중심도 바뀌었다. 이론적으로 작은 정부론에 부합되는 정책은 통화정책인 반면 큰 정부론에 맞는 정책은 재정정책이라 볼 수 있다. 테러 이후 '재정정책의 동조화'로 부를 만큼 각국들이 경기부양책으로 재정지출과 조세감면을 일제히 추진했다. 산업별로도 명암이 엇갈렸다. 테러 예방 및 테러복구 차원에서 보안과 보험산업은 호황을 맞았다. 반면 항상 추가 테러위협에 휩싸였던 항공산업은 부진했다. 세계 유수의 항공업체들은 아직까지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는 상태다. 미국 국민들의 일상생활에도 테러의 영향이 파고들었다. 한동안 보기 힘들었던 애국소비 운동이 재현됐다. 고용행태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연봉을 중시해 회사를 택하고 평가하던 관행에서 벗어나 가족과 함께 있을 수 있는 시간을 우선하게 됐다. 친족과 자국 국민들에 대한 애착심이 강해진 것도 일상생활의 큰 변화다. 결국 9·11테러 이후 1년이란 짧은 기간에 미국과 세계경제는 실로 많은 변화를 겪었다. 앞으로 이런 변화들이 어떻게 굳어져 어떤 모습으로 21세기 세계경제 질서를 만들어 낼 것인가는 또 하나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논설·전문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