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은행은 콜금리의 목표수준을 정하고 이에 맞도록 통화정책을 운용한다. 현재 한은이 목표로 삼고 있는 콜금리 수준은 얼마인가. (가) 연 4.75% (나) 연 4.50% (다) 연 4.25% (라) 연 4.00% [2] 한국은행에서 콜금리의 목표수준을 구체적으로 발표하기 시작한 것은 언제부터인가. (가) 97년 (나) 98년 (다) 99년 (라) 2000년 [3] 콜금리를 인상했을 때 나타날 가능성이 가장 낮은 현상은. (가) 소비심리 위축 (나) 물가 상승 (다) 설비투자 둔화 (라) 시중 유동성 감소 -------------------------------------------------------------- 누구나 살다보면 돈이 모자라기도 하고 남기도 한다. 개인뿐 아니라 은행 등 금융회사도 사정은 마찬가지. 고객을 상대로 예금을 받고 이 돈으로 대출이나 투자를 하다 보면 금융회사는 돈이 모자라는 날도 있고 남는 날도 있다. 이럴 때 금융회사들은 '콜시장'을 찾는다. 금융회사들간에 하루짜리 초단기자금이 주로 거래되는 곳이다. 시장이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남대문시장처럼 특정한 건물·지역 등 물리적인 공간이 있는 것은 아니다. 금융회사끼리 서로 돈을 주고받는 거래 시스템을 통틀어 '콜시장'이라고 부른다. 콜시장에서는 주로 '1일물'이 거래된다. 오늘 빌렸으면 하루 뒤인 내일 돈을 갚기로 약속하는 거래다. 돈을 빌리는 것은 '콜론(call loan)',빌려주는 것은 '콜머니(call money)'라고 부른다. 물론 돈을 빌릴 땐 '콜금리'(이자)가 붙는다. 국채 회사채 등 채권 수익률처럼 금융회사들의 돈 수요와 공급에 따라 금리는 수시로 변한다. 하지만 콜금리는 일정한 범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한국은행이 목표 금리 수준을 정해 놓고 콜금리가 여기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돈을 풀었다,죄었다 하기 때문이다. 현재 한국은행이 목표로 정한 콜금리는 연 4.25%. 금융회사들은 대략 목표치 대비 위 아래로 0.2%포인트 이내(연 4.05∼4.45%)에서 거래한다. 이같은 콜금리 목표치는 한국은행의 의사결정기구인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에서 결정한다. 7명의 금통위 위원들은 통화정책 방향을 놓고 매달 한 차례씩 회의(둘째주 목요일)를 갖는데 여기에서 콜금리 조정 여부가 결정된다. 매달 콜금리를 조정하는 것은 아니며 물가상승 우려가 크거나 지난해 미국 9·11테러처럼 경제상황이 급격히 달라질 때 콜금리에 손을 댄다. 콜금리가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수단으로 부각된 것은 시중금리가 연 20∼30%까지 폭등했던 지난 97년 말 외환위기 때부터. 그전까지는 한국은행이 돈(통화량)을 직접 풀거나 거둬들이는 식으로 통화정책을 운용했다. 지금과 같은 구체적인 콜금리 목표치를 정한 것은 99년 5월부터다. 통화량 대신 콜금리로 돈의 양을 간접적으로 조절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금통위의 콜금리 조정에 왜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기울일까. 그 이유는 콜금리를 올리거나 내렸을 때 국내 경제 전반에 파급효과가 워낙 광범위하기 때문. 경기가 과열됐다고 판단될 때 콜금리를 올리면(인상하면) 곧바로 기업어음(CP) 등 단기금리가 따라 오른다. 금융회사는 콜시장에서 돈을 꿔오는 데 더 많은 비용(이자)을 지불해야 하며 뒤이어 기업의 회사채 수익률이나 은행 대출금리 등 1년 이상 장기금리도 오른다. 각종 금리가 오르면 소비 투자 등 실물경제 활동에도 그 영향이 미친다. '콜금리 인상→단기금리 상승→장기금리 상승'으로 이어지는 금리 변동은 과열된 소비심리를 식히고 기업들의 과도한 설비투자를 둔화시키는 주요인이 된다. 기업들은 대출이자 부담이 커져 은행에서 돈을 꿔 투자하길 꺼리게 되고 개인들은 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늘리는 경향이 나타난다. 결국 물가안정을 꾀하는 것이다. 반대로 경기가 침체됐을 때 콜금리를 내리면(인하하면) 시중에 돈이 더 풀려 소비나 투자가 늘어나게 된다. 시중 금리 수준이 너무 낮으면 예금보다는 다른 투자자산으로 시중자금이 몰린다. 요즘 들어 부동산 투기 열풍을 잠재우기 위해 콜금리를 인상해야 한다는 일각의 주장도 이런 이유에서다. [ A 1)다 2)다 3)나 ] 안재석 기자 yag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