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발표에 따르면 올 2분기 총저축률이 지난 82년 이후 20년 만에 최저수준인 27.5%를 기록했다고 한다. 2분기중 소득이 6.2% 늘어났는데 소비지출은 11.1%나 증가했으니 저축률이 낮아질 수밖에 없다. 그 이유가 무엇이건 우리는 저축감소에 따른 악영향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외환위기 이후 설비투자가 계속 부진해 당장은 저축률 하락이 큰 문제가 되고 있지 않지만,중장기적으로 우리경제의 성장잠재력이 저하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저축이 계속 줄어들면 조만간 국제수지가 적자로 반전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우려할 만한 대목이다. 물론 경제규모가 커지고 소득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저축률이 떨어지는 것은 일반적인 현상이긴 하다. 게다가 저금리기조가 유지되고 있고 지난해엔 정부당국이 내수진작을 통한 경기부양책을 적극적으로 폈던 점을 감안하면 어느정도는 예상했던 일이다. 그러나 문제는 저축률이 올해뿐 아니라 그동안 지속적으로 낮아져 왔다는데 있다. 총저축률은 지난 88년 40.5%로 최고수준을 기록한 뒤 해마다 떨어졌으며,특히 지난해에는 83년의 29.0% 이후 처음으로 30%대 이하를 기록했다. 부동산 투기가 극성을 부리고 있어 획기적인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내년에도 저축증대를 기대하긴 어려울 것 같다. 무엇보다 걱정스러운 점은 소비증가와 저축감소가 가계부채 급증으로 직결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우선 지난해말 현재 우리나라 가계의 금융자산 대비 부채비율은 0.44로 미국의 0.15는 물론이고 일본의 0.38, 독일의 0.41보다 더 높아졌다. 또한 가계대출 연체율이 지난해 평균 0.9%에서 올 7월말에는 1.5%로 거의 2배 가까이 높아졌고, 신용카드 연체율이 지난해보다 2%포인트 이상 상승해 8%대를 기록한 것도 심각한 일이다. 개인파산 역시 재작년 3백29건에서 작년에 6백27건으로 급증했으며 올해에는 상반기에만 벌써 4백38건을 기록하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우려했던 대로 부동산 거품이 꺼질 경우 내수를 바탕으로 한 국내 경기가 침체될 것은 물론이고, 막대한 공적자금 투입 덕분에 간신히 정상화된 국내 금융산업이 또다시 엄청난 부실을 떠안게 될 것이 분명하다. 사정이 그렇다면 정부는 서둘러 경제안정대책을 세워야 마땅하다. 가계부채 축소와 저축증대가 대책의 핵심사항이 되어야 함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관계당국은 비과세 금융상품 대폭 축소 방침의 재검토를 포함해 다각적인 저축증대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