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설비 부문의 빅딜(대규모 사업 맞교환)과 민영화 이후 관련 설비 납품가격이 최고 2.7배로 폭등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나라당 안영근 의원은 16일 산업자원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빅딜과 민영화가 완료된 뒤 국내 독점기업으로 변신한 두산중공업이 지난 3월 당진 화력발전소 5·6호기의 보일러와 터빈발전기를 지난 97년 태안 화력발전소가 동종 설비를 들였을 때보다 각각 2.7배와 1.5배 비싼 1천7백8억원과 8백억원에 수주했다"고 지적했다. 당시 태안 화력발전소는 5·6호기 설비 입찰에서 보일러 부문은 삼성중공업으로부터 6백20억원,터빈발전기 부문은 현대중공업에서 5백22억원에 각각 낙찰받았었다. 안 의원은 "정부가 지난 99년부터 2000년까지 공급 과잉을 해소한다는 명분으로 현대·삼성중공업의 발전설비 사업부문을 공기업인 한국중공업으로 일원화한 뒤 두산에 매각했다"며 "그러나 당초 우려한 가격 상승이 현실화된 만큼 국내 발전설비 부문의 지배체계를 재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이에 대해 "태안 화력 5·6호기의 경우 97년 당시 발전설비 시장에 첫 진출한 현대·삼성중공업이 원가보다 30∼40% 낮은 값에 수주하는 바람에 납품가격이 비정상적으로 낮았다"고 반박했다. 그는 "당진 화력 5·6호기의 납품업체는 국제 경쟁입찰을 통해 선정된 만큼 가격 부풀리기는 결코 없었다"며 "태안 화력과 달리 당진 화력 납품가격에는 전기제어설비 탈황설비 등 부가시설과 설치 비용이 추가로 포함됐다"고 해명했다. 정한영 기자 ch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