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은행이 유휴부동산을 손해를 보면서 매각하는 과정에서 권력실세의 개입여부에 대한 비리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나라당 이성헌 의원은 24일 금융감독원 국정감사에서 "국민은행이 지난 99년서울 여의도의 직원합숙소 및 체육관을 장부가액 기준으로 17억7천만원의 손해를 보면서 매각한 대상은 김대중 대통령의 비서출신인 박문수씨로 권력실세의 개입비리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현재 `트럼프월드2'라는 주상복합건물이 건축중인 이곳은 국민은행이 99년 8월 우선매각추진대상부동산이 아니라 장기매각대상으로 분류했으나 같은해10월15일 공매공고에 매각대상으로 둔갑시켰다"고 밝혔다. 그는 또 "매각공고를 낸 지 15일만에 매수자가 없다는 이유로 11월2일 하이테크하우징이라는 회사와 수의계약으로 230억원에 매각계약을 체결했다"며 "매매계약도국민은행이 공매한 부동산중 유일하게 계약금 10%, 중도금 20%, 잔금 70%로 대금납부 조건을 변경해줬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잔금 161억원에 대해 국민은행은 자기소유의 부동산을 매각하면서그 부동산을 담보로 잡고 대출을 발생시켜 잔금을 지불하게 했다"며 "이는 국민은행의 유휴부동산 매각에서 유일한 사례"라고 설명했다. 그는 "전남 신안 출신인 박문수씨는 80년대 중반까지 DJ의 비서직을 수행했으며박씨가 만든 하이테크하우징은 99년 1월 등기된 회사로 대표는 박씨의 부인이고 민주당 박양수 의원의 부인이 이사로 등재된 바 있다"며 "이 부동산 매각과 관련해 비리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준억기자 justdust@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