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일자) 민영화 두돌 포스코가 갈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오는 4일로 2주년을 맞는 포스코의 민영화는 일단 성공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극심한 철강 불황기였던 지난해 8천1백93억원의 순이익을 올린 것을 비롯 1998년부터 최근 4년간 낸 순이익 합계가 5조1천4백억원으로 68년 창사이후 30년간의 순이익 규모를 능가할 정도로 수익기반을 공고히 한 사실 하나만으로도 그렇게 볼 수 있다.
더욱이 97년 1백41%였던 부채비율을 지난해 53.4%로 낮췄고,지난해 영업이익률(12.9%)이 신일본제철(1.9%)을 크게 앞지르는 등 그야말로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지닌 철강기업의 자리를 굳히고 있는 것 역시 평가받아 마땅하다.
포스코의 이같은 경영성과는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방만한 사업구조를 핵심사업 중심으로 개편했고,'최대생산 최대공급'이란 물량 중심의 경영을 '적정생산 최대이익'이란 질 중심으로 바꾸는 등 체질개선을 위한 자체노력이 밑거름이 됐음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특히 사외이사로 하여금 이사회 주요 안건을 사전심의토록 하는 등 이사회의 독립성과 권한을 늘려 경영감시와 견제기능을 강화한 것도 질중심 경영에 적잖은 기여를 한 것같다.
그러나 민영화의 궁극적 목표인 세계적 초우량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선 해결해야 할 과제 또한 적지 않다.
가장 큰 문제는 역시 지배구조다.
포스코 지분은 외국인(60.4%) 국내금융기관(15.6%) 일반투자자(21.6%)등에 분산돼 지배구조가 없게 돼 있는데,그 틈새를 정치권과 정부가 파고들 우려가 여전히 전무하다고 보기 어렵다는 점이다.
정치권과 정부의 간섭이 자율과 책임경영을 통해 공기업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민영화의 근본 취지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은 자명하다. 바로 그런 점에서 정치권과 정부는 민영화된 공기업에 대해서도 산하기업 쯤으로 여기고 인사나 출자 물품거래 등에 있어서 아직도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그릇된 관념부터 버려야 할 것이다.
포스코 스스로도 기업의 주요 활동을 낱낱이 공개하는 등 투명경영을 통해 전적으로 주주들에게 신임을 묻는다는 자세로 외부의 부당한 간섭이 끼여들 여지를 근원적으로 없애나가야 할 것이다.
공기업 시절 형성됐던 비효율적 타성을 말끔히 털어내는 것은 포스코인이 해결해야 할 과제다.
열연코일의 경우 주문에서 납품까지 걸리는 기간을 30일에서 14일로 단축시키고 있다지만 고객중심의 업무혁신은 모든 사업부문에 걸쳐 더욱 강화하고 확대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