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복(李泰馥) 전 복지부장관이 증인으로 출석한 국회 보건복지위의 2일 국정감사에서는 `다국적 제약회사 압력설'에 대한 논란이재연됐다. 이 전 장관 경질사유에 대한 의견과 경질당시 한 발언에 대한 평가도 소속당별로 의원들의 입장이 엇갈렸다. ◇압력설 = 한나라당 심재철(沈在哲) 의원은 "다국적 제약회사의 압력은 99년한.미간 합의가 있었기 때문인데 그 합의내용은 미 무역대표부 홈페이지에도 게재돼있다"면서 "미국측은 의약품 실거래가제가 실시되기 1주일전인 99년 11월 8일 실거래가제 도입에 감사한다는 서한을 보내기도 했다"고 주장했다. 같은 당 윤여준(尹汝雋) 의원은 "대통령에게 건강보험 재정대책을 보고하려 했으나 일정조차 잡아주지 않은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처사"라고, 김홍신(金洪信) 의원은 "이 전 장관이 청와대 보고를 못한 것은 미국의 압력때문이며 미국이 복지장관과대화가 잘안된다고 청와대에 계속 압력을 보낸 것같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거들었다. 그러나 같은 당 이원형(李源炯) 의원은 "옳은 정책을 추진하는데 제약회사의 로비에 의해 장관을 경질할 수 있다고 생각하느냐"고 따져 눈길을 끌었다. 민주당 김명섭(金明燮) 의원도 "다국적 제약회사가 약가인하를 반대하는 것은당연한 것 아니냐"면서 "이 전 장관 경질사유는 인사문제와 직원내부문제, 보궐선거출마문제 때문이라는 소문도 많았다"고 주장했다. ◇이 전장관 주장 = 이 전 장관은 `다국적 제약사의 압력으로 경질됐다는 주장이 사실이냐'는 추궁에 "당시 준비하던 재평가와 최저실거래가제, 참조가격제 등이자칫 무산될 위기가 있어 쐐기를 박을 필요가 있어 그런 말을 했다"면서도 "어떤 근거로 판단했는지는 잘 모르지만 개인적으로 그런 느낌을 받았다" "언젠가 진실이 밝혀질 것이고 역사가 기록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국내외 제약사의 압력으로 약가정책에 어려움이 있어 정말 큰 부담을 갖고 있었고 로비형태로 음해성 소문과 인사불만 증폭 등도 있었다"면서 "제가극비리에 진행, 발표하려던 재평가를 못할 수도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 전 장관은 그러나 `미국과 합의든 양해든 뭔가 논의가 있었던 것 아니냐'는질문에 "실거래가제도에 관한 논의가 있었던 것으로 안다"면서도 "합의문서는 없었고 합의된 게 있었다면 그에 따라 정책을 추진했을텐데 그런 것은 없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전 장관은 `현정권 국정운영의 가장 큰 문제가 뭐라고 생각하느냐'는질문에 "본질적으로는 정치지도자와 정부가 중요한 사회적 아젠다에 대한 합의를 제대로 만들지 못했고 현안에 대한 깊이있는 이해와 판단을 못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의원들의 반응 = 이 전 장관의 경질압력설 발언에 대해 한나라당 심재철 의원은 "증인은 `이건 심하다'고 느낀 부분이 있었을 것"이라고 했고 같은 당 김홍신 의원도 "미국의 압력에 단호히 대응한 점을 높이 평가한다"고 두둔했다. 그러나 같은 당 이원형 의원은 "증거도 없이 짐작만으로 로비에 의해 경질됐다고 퇴임사를 하는 게 적절하냐"고 따졌고, 민주당 최영희(崔榮熙) 의원도 "장관이덕(德)스럽지 못한 발언을 해 대통령에게 누를 끼쳤다"고 질타했다. (서울=연합뉴스) 민영규기자 youngkyu@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