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현(丁世鉉) 통일부장관은 4일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는 선군후경(先軍後經) 선난후이(先難後易) 선관후민(先官後民) 대북정책과관련, "남북 평화의 공존을 위해 군사와 어려운 것, 정부적인 측면보다는 경제와 쉬운 것, 민간 측면이 우선시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정 장관은 이날 경남 마산시청에서 열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와 경남정치학회가 주최하는 '김대중 정부의 대북 정책 쟁점과 대안 모색' 정책포럼의 기조강연에서이같이 밝히고 "평화 공존의 현실적 대안은 선경후군(先經後軍) 선이후난(先易後難)선민후관(先民後官)"이라고 강조했다. 정 장관은 "북한 붕괴유도론은 현실성이 없는 대안으로 오히려 전쟁을 촉발할수 있는 위험한 발상"이라며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체제와 경제적 안정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경의선 철도 연결과 신의주 특별행정구 지정 등 북한의 개방정책과 관련, "북한은 건곤일척의 심정으로 개방과 개혁을 추진, 이제 되돌아 올수 없는 강을 건넌 것으로 생각된다"며 "양빈(楊斌) 행정장관의 신상문제도 조만간 수습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정 장관은 "20세기는 베트남식 무력통일과 독일식 흡수통일이 이뤄진 세기인 반면 21세기는 남북간 화해와 협력을 바탕으로한 '합의에 의한 평화통일'의 시대"라고강조하면서 "정부는 남북간 실질 협력관계가 확고히 정착될 수 있도록 진행중인 대북 사업들을 충실히 이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포럼에서는 김용복 경남대교수의 '김대중 정부의 남북관계 성찰과 과제', 심흥수 경상대교수의 '부시정부의 북미관계 현황과 변화전망', 하상식 창원대교수의 '북한의 군사정책과 한반도 통일', 정천구 영산대 교수의 '북한의 변화를 어떻게 볼 것인가' 등 4편의 주제발표가 있었다. (마산=연합뉴스) 김영만기자 ymki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