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제 리포트] '커뮤니티 서비스 유료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커뮤니티(동호회)는 콘텐츠, 전자상거래와 함께 인터넷 포털의 가장 중요한 서비스 항목이다.
인터넷 사이트들마다 커뮤니티 서비스에 높은 비중을 두는 것은 커뮤니티만큼 고객을 오랫동안 사이트내에 붙잡아 둘 수 있는 서비스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고객이 오랜 시간 사이트에 머무른다는 것은 곧 광고를 비롯해 각종 유료 서비스의 매출 확대로 이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커뮤니티는 고객들 사이에서 자발적으로 형성되는 동호회 성격이 짙기 때문에 무료로 서비스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콘텐츠나 전자상거래가 인터넷 업체들의 대표적인 수익 모델인 것과는 차별점이 있다.
인터넷 업체들은 그러나 커뮤니티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되 광고나 유료 콘텐츠 등의 사업과 연계시키는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수익성을 찾아내고 있다.
물론 보다 강력한 기능을 원하는 회원들을 위해 '프리미엄 서비스' 등의 이름으로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긴 하지만, 기본적인 커뮤니티 이용은 무료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런 점에서 프리챌의 커뮤니티 유료화 선언은 한동안 잠잠했던 인터넷 업계에 적지 않은 파장을 몰고 왔다.
아직까지 국내 인터넷 업체 중에 커뮤니티 서비스를 유료화하겠다고 나선 곳이 없었기 때문이다.
네티즌들에게 '상업성과 가장 거리가 먼 구역'으로 인식돼온 커뮤니티 서비스를 유료화한다는 것은 득보다 실이 많다는게 일반적인 시각이었다.
당장의 매출 향상에는 효과가 있을지 몰라도 고객들의 불만과 이로 인한 이탈 현상은 시간이 갈수록 훨씬 심각한 손실을 초래한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리챌이 유료화에 나선 것은 어려운 회사 형편을 전환해 보려는 시도라는게 인터넷 업계 관계자들의 시각이다.
유료화로 고객 이탈 현상이 나타나더라도 일정 수준의 고객만 남으면 충분히 수익성을 찾을 수 있다는게 프리챌의 복안이라는 것이다.
이같은 프리챌의 결정에 대해 반대 의견을 내놓는 사람들도 많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적지 않다.
커뮤니티라고 해서 유료화하지 말라는 것은 유료 서비스가 보편화된 인터넷 시대의 흐름에 맞지 않는다는게 그 이유다.
그러나 문제는 유료화 선언 자체가 아니라 그 방법론에 있다.
지금처럼 일방적으로 모든 커뮤니티 서비스를 유료화하는 것이 아니라, 무료 서비스는 그대로 두고 유료 서비스를 따로 실시함으로써 고객들에게 서비스 선택의 기회를 주는 방법이 타당하다는게 네티즌들의 지적이다.
기본적인 기능만 필요하면 무료 서비스를 이용하면 되고, 보다 양질의 기능이 필요하면 유료 서비스를 신청하면 된다는 것이다.
프리챌의 유료화 선언은 이처럼 '커뮤니티는 유료화할 수 없다'는 기존의 관념을 뒤엎고 전격적으로 발표됐다.
그 결과는 타 업체들의 향후 서비스 계획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많은 인터넷 업체들의 시선이 프리챌에 쏠리고 있는 것은 바로 이같은 이유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