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타이어 등에 쓰이는 천연고무 가격이 최근 1년 새 40% 가까이 급등했다. 기후 변화로 고무 생산이 어려워지면서 주요 생산지들이 팜나무(기름야자) 재배로 눈길을 돌렸고, 타이어가 빠르게 마모되는 전기차 보급이 늘어나며 수급 불균형이 우려되면서다.천연고무 선물은 도쿄상품거래소에서 3일 낮 12시 기준 ㎏당 394.1엔에 거래됐다. 1년 전보다 39.4% 올랐다. 천연고무 선물은 2020년 상반기만 하더라도 130~140엔에 거래되다가 그해 10월 300엔대까지 치솟았다. 이후 200엔대로 떨어지며 안정되는 듯했으나 작년 초부터 다시 상승해 작년 9월에는 400엔을 넘기도 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천연고무는 지난해 코코아, 커피와 함께 가격 상승폭이 높았던 작물 중 하나”라고 했다.천연고무 가격 불안은 단기적으로 날씨 영향이 크다. 지난달 초 태국 남부에서 대규모 홍수가 발생하면서 고무 생산이 32만t가량 감소했다. 세계 연 소비량의 약 2%에 해당하는 양이다. 고무나무는 온도와 습도에 민감한 작물이다. 평균 26~28도의 기온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강우량도 충분해야 하기 때문에 고무나무 재배지의 80% 이상이 동남아시아에 몰려 있다. 동남아 지역 생산량 중에는 태국이 약 33%를 차지하고 인도네시아(약 20%) 베트남(약 10%)이 그 뒤를 잇는다.대체지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 이들 나라가 고무나무 재배 면적을 축소하면서 고무 생산량은 감소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인도에서는 2010년 이후 고무나무 재배 면적이 약 20% 줄었다. 태국에서는 고무 생산량이 2004년 정점을 찍은 이후 약 27% 감소했다. 인도네시아에서도 2017년을 정점으로 비슷한 비율로 생산량이 줄어들었다.블룸버그는 “고무 채취
캐나다에서 미국산 제품에 대한 불매 움직임이 나타나면서 국산품 구매 운동이 함께 벌어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고율 관세 부과로 반(反)미 감정이 고조되면서다.2일 파이낸셜타임스(FT)는 캐나다에서 국산품 소비를 장려하는 '바이 케네디안(Buy Canadian·캐나다산 물건을 사자)' 운동이 벌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에 캐나다도 애국주의로 응수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FT는 "평화롭게 살던 캐나다인들이 미국의 괴롭힘을 더는 못 참겠다(enough is enough)며 분노하고 있다"고 표현했다.캐나다의 최대 무역국이자 동맹인 미국은 4일부터(현지 시간) 캐나다산 수입품에 25% 관세를 매기기로 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에 거듭 "미국의 51번째 주가 돼라"며 모욕 섞인 발언을 이어갔다.최근 캐나다 마트 곳곳에는 캐나다산 제품이라는 것을 강조하는 '메이드 인 캐나다' 팻말이 등장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동네 마트에 메일을 보내 캐나다산 제품에는 (캐나다의 상징인) 단풍나뭇잎 모양 스티커를 붙여달라고 하자"는 글이 캐나다인 사이에서 호응을 얻고 있다. 미국산을 대체할 캐나다 제품의 목록까지 확산하고 있다. 온타리오, 브리티시컬럼비아 등 일부 주에서는 미국산 주류 판매가 중단됐다.'캐나다는 매물이 아니다(Canada is not for sale)'라고 적힌 모자도 인기다. 더그 포드 온타리오 주총리가 해당 모자를 착용하고 관세 대책회의에 참석한 사진도 화제가 됐다.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1일 연설에서 "여름 휴가도 국내로 떠나자"며 캐나다 국민의 애국심에 호소했다. 모든 캐나다인이 무역
지난 20여년간 막대한 수요로 세계 원자재 가격 상승을 주도한 중국이 경기 부진에 시달리면서 원자재 시장에 영향을 주고 있다. 중국 정부가 코로나19 팬데믹의 충격, 부동산 경기 둔화 등을 해결하기 위해 경기 부양책을 내놨지만 효과가 미미하다는 분석과 함께 “중국발 원자재 슈퍼 사이클이 확실히 끝났다”는 분석이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으로 글로벌 무역 긴장이 확대되면서 원자재 시장에서는 코발트, 리튬 등 희소한 자원을 둘러싼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철강 수요 큰 폭 둔화중국은 산업화와 도시화를 겪으면서 세계 원자재를 빨아들였다. 이는 철광석, 석탄 등의 원자재 가격을 급격히 상승시키는 ‘원자재 슈퍼 사이클’로 이어졌다. 원자재 컨설팅 기업 CRU그룹에 따르면 중국은 2000년부터 2020년까지 미국이 20세기 전체 소비한 양의 두 배에 달하는 철강을 소비했을 정도다.3일 CRU 그룹 집계 결과 중국의 1인당 철강 소비량은 지난해 기준 575.4㎏으로 선진국(미국, 독일, 영국) 평균(283.4㎏)의 두 배가 넘었다. 2000년에 비해 약 여섯 배 증가한 규모다. 2009년, 2013년, 2016년에 걸친 중국 정부의 대규모 경기 부양책에 따른 결과였다. 중국 정부는 중공업과 건설업에 자금을 쏟아부었고, 철강 산업은 계속해서 성장했다.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수요는 급격히 둔화했다. 지난해 중국의 강철 생산은 4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고, 올해도 전년 대비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CRU는 올해부터 2050년까지 글로벌 철강 수요 증가율이 연 0.6% 수준일 것으로 내다보며, 지난 20년간의 연평균 성장률(2%)보다 큰 폭으로 둔화할 것이라고 했다.특히 중국 부동산 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