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일 발생한 모닷텔 공모 미달사태는 주간사인 현투증권에 1차적인 책임이 있다는 게 증권업계의 중론이다. 한마디로 "능력이 검증되지 않은 증권사가 주간사를 맡아 생긴 '사건'"이라는 얘기다. 실상을 들여다보면 이런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현재 현투증권 기업금융팀의 인원은 2명에 불과하다. 2명마저 기업금융업무 경력이 그다지 길지 않다. 현투증권은 또 증권영업 자체에 충분한 노하우를 갖추지 못한 증권사로 평가된다. 이 회사는 1999년까지만 하더라도 수익증권을 팔고 운영하는 투신업무가 주력이었다. 2000년에 들어서야 증권업무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국내에선 현투증권처럼 능력이 부족한데도 30개 증권사가 너도나도 기업공개 주간사증권사 업무를 맡고 있다. 미국에선 기업공개 업무를 메릴린치 골드만삭스 등 5개 대형 증권사만 맡고 있다. 나머지 증권사들은 IPO업무를 하겠다고 나서도 시켜주지 않는다. 시켜주지 않는다고 해서 불만을 제기하는 중소형 증권사도 없다. 국내에서 IPO부문의 과당경쟁은 '절대 평등'을 추구하기 때문에 발생했다. 한 대형 증권사 기업금융팀장은 "기업금융 업무는 상당한 이익을 가져다 주지만 손실위험도 큰 편"이라며 "국내 모든 증권사가 이런 위험을 다 부담할 수 있다는 인식 자체가 바뀌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증권사끼리의 과당경쟁은 '수수료 할인'과 '공모가 부풀리기'로 연결된다. 상장(등록)준비기업 입장에선 싼 수수료에 공모가를 높게 해주겠다는 증권사를 선호하게 마련이다. 8월 이후 신규 등록된 17개 기업 중 대부분의 기업은 현재 주가가 공모가를 밑돈다. 등록 후 한달 내 주가가 공모가의 80∼90%를 밑돌아 시장조성에 들어간 회사만 9개에 이른다. 무분별한 주간사회사 업무수행과 공모가 거품이 증권사에 부메랑으로 돌아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기업공개 시장의 붕괴위험을 막으려면 능력없는 증권사의 기업공개시장 퇴출이 이뤄져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이는 상장준비기업과 투자자가 해야 할 일이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