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2곳 등 BK21 '도중하차' .. 중간평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연구중심의 대학을 키우기 위해 지난 3년간 6천7백여억원이 지원된 '두뇌한국(BK)21'의 성과를 첫 중간평가한 결과 모두 1백22개 사업단중 서울대 아시아태평양교육발전연구단 등 4개 사업단이 중도 탈락했다.
교육인적자원부와 한국학술진흥재단이 18일 발표한 'BK21사업 중간평가 결과'에 따르면 BK21사업 초기부터 집중 지원을 받아 논란을 빚었던 서울대의 경우 총 15개 사업단중 2개가 탈락했고 또다른 10개 사업단은 사업비를 10∼20%씩 삭감당하는 부진을 보였다.
그러나 서울대는 "교육부가 애초 공고문과 달리 사업연구실적과 제도개혁평가 점수를 따로 보지 않고 합산하는 탓에 불이익을 받았다"며 반발하고 있다.
BK21 중간평가는 과학기술·인문사회·지역대학육성·특화 등 4개 분야에서 실시됐다.
이 가운데 인문사회분야 20개 사업단중 △서울대의 아시아태평양교육발전연구단과 21세기 행정학 패러다임교육연구단 △숭실대 E형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교육연구단 △충남대 백제학 교육연구단 등 총 4곳이 탈락됐다.
이들 4개 사업단은 올 상반기까지 약 68억원의 사업비를 지원받았으나 탈락 이후인 하반기엔 지원사업비중 20%를 깎이게 되고 내년부터는 한 푼도 받지 못한다.
정부는 42개 지역대학육성분야 사업단중 충남대 정보통신 인력양성 사업단과 특화분야의 12개 사업단중 중앙대 영상사업단을 '조건부' 탈락대상으로 결정하고 내년 1학기까지의 사업실적을 보고 최종 탈락여부를 결정키로 했다.
BK21 사업부문중 연간 지원액이 9백억원으로 가장 많은 과학기술분야의 경우 탈락된 사업단은 전무하다.
단 정보기술 의생명 등 10개 세부분야중 9개 분야에서 서울대 사업단이 꼴찌로 처져 2학기에 지원될 사업비중 10∼20%씩을 삭감당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서울대의 성적이 이처럼 낮게 나타난 것은 모집단위 광역화나 학부정원 감축 등 BK협약 당시 약속했던 제도개혁 실적이 다른 대학보다 훨씬 부진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교육부는 실적이 부진한 사업단에서 깎은 사업비는 KAIST(한국과학기술원)나 포항공대 등 우수 사업단에 인센티브조로 지원하고 탈락된 4개 사업단에 오는 2005년까지 당초 투입키로 했던 사업비 약 60억원은 내년 1월께 새로 사업단을 선정,지원할 계획이다.
BK21사업에는 지난 99년부터 오는 2005년까지 모두 1조4천억원이 지원된다.
이방실 기자 smi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