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과학상을 받은 석학들이 한국에서 청소년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강연에 나선다. 화학상을 받은 미국 하버드대 허슈바흐 교수(71.86년 수상)와 영국 서섹스대 크로토 교수(64,96년 수상), 물리학상을 받은 미국 콜로라도대의 코넬 교수(42,2001년 수상)는 22일 코엑스에서 '과학과 대중의 만남'이란 주제로 특별 강연을 한다. 한국과학문화재단(이사장 최영환)이 노벨상 1백주년을 기념해 마련한 이번 강연회에서 허슈바흐 교수는 '노벨상을 향한 과학교육', 크로토 교수는 '영국사회의 과학대중화', 코넬 교수는 '나는 왜 과학자가 되었나'라는 제목으로 강연한다. 이에 앞서 허슈바흐 교수는 21일 서울대에서, 크로토 교수는 한양대에서 각각 강연을 했다. 크로토 교수를 만나 과학 대중화의 필요성 등에 대해 들어봤다. ----------------------------------------------------------------- "과학 대중화를 위해선 교사와 학교가 가장 중요합니다. 특히 학교에서 10살 이하의 학생들에게 과학을 쉽게 가르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해럴드 크로토 영국 서섹스대 교수는 "과학을 흥미있게 배울 수 있는 영상자료 등을 많이 확보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그는 베가(www.vega.org.uk) 재단을 설립해 각종 과학 관련 자료를 배포하는 등 영국에서 과학대중화 운동에 앞장서고 있다. 크로토 교수는 "과학은 20세기를 지배하는 문화였으며 21세기에도 인류사에서 더욱 그 가치가 빛날 것"이라며 "따라서 산업과 정부가 과학분야에 더욱 많은 지원을 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럽과 미국에서도 이공계에 대한 기피 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게 사실입니다. 이같은 현상은 우리가 생존하는데 필수 요소를 간과하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그는 이같은 책임은 바로 미디어에 있다고 지적한다. 미디어는 과학기술과 과학자들의 다양한 인식을 전파하는 최고의 수단이 돼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과학은 실로 우리의 지적이고 문화적인 발전의 토대를 이루는 중요한 수단"이라고 강조한 뒤 "베가재단을 통한 과학대중화 운동에 앞장설 것"이라고 다짐했다. 이를 위해 TV와 인터넷 매체 등을 적극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최고의 과학 기술자와 과학 운동가들을 다루는 프로그램이나 프로젝트들을 계속해서 개발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이러한 과학대중화 운동을 통해 시청자들에게 과학 통찰력을 길러주고 과학의 본능적인 파워를 살리는데 초점을 둘 것이라고 그는 강조한다. "일반적으로 과학공동체는 특별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전적으로 이해부족으로 인한 것입니다." 그는 과학기술에 대한 일반인의 이해와 인식은 다른 나라의 문화를 접할 때 받게 되는 충격과 비슷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영어를 제대로 알지 못하고는 셰익스피어를 이해하기 어려우며 독일어를 모르면서 괴테를 논할 수 없다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얘기다. 그는 과학적인 '언어'를 이해하는 것이 일반인들 과학교육의 첫 단계라고 강조한다. 이 언어가 제대로 이해된다면 과학기술에 또 다른 흥미를 가질 것이고 특히 기술발전 속도가 빠른 현대 생활에도 잘 적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한다. 베가사이언스 운동이 추구하는 목표도 바로 여기에 있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이번 방문기간중 그는 과학 대중화 운동만 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화학 분야 강연과 좌담회 등이 줄줄이 잡혀 있다. 그는 제3의 탄소분자인 풀러린(C60)을 발견해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그는 21일 한양대 한양종합기술연구원(HIT) 대회의실에서 열린 'NT.BT.IT 퓨전테크놀로지 국제심포지엄'에 참석, 나노테크놀로지의 발전방향에 대해 강연했다. 과학기술부가 주최하고 테라급 나노소자개발사업단이 주관한 이번 심포지엄에서 크로토 교수는 "나노기술 발전을 위해선 화학 생물학 물리학이 융합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화학분야에서 나노기술에 대한 첫 발견이 이뤄졌지만 앞으로 이 기술이 분자모터 등 생체모방시스템 개발에 활발히 응용되면서 생물학 물리학 등 인접학문의 도움이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나노기술 분야의 경우 한국 일본 중국 미국 등 대부분 국가가 같은 출발선에 있습니다. 한국은 특히 우수한 인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그는 "나노 분야에 많은 투자를 한다면 한국도 승산이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송대섭 기자 dssong@hankyung.com ----------------------------------------------------------------- < 크로토 교수 > 영국 케임브리지셔주 출생(1939년)으로 1964년 셰필드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67년 서섹스대, 91년 영국왕립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서섹스대 교수로 몸담고 있다. 크로토 박사는 극초단파 분광법을 이용, 탄소를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는 성간가스를 분석하던중 별의 대기와 가스성운에서 사슬 모양의 탄소분자와 질소분자를 발견했다. 이 탄소사슬의 형성과정을 밝히는 연구를 하는 과정에서 공 모양으로 뭉쳐져 있는 탄소원자 '풀러린'(fullerene)'을 발견했다. 이 공로를 인정받아 리처드 스몰리, 로버트 컬 2세와 함께 96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