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과 한나라당,정부가 참여하는 여야정책협의회가 빠르면 이번주 가동된다는 소식이다. 민주당은 "현 경제상황에 대한 정치권의 초당적 협력체제 유지를 위해" 협의회를 열자는 것이고 한나라당 역시 "경제에는 여야가 없다"면서 비상대책기구를 마련하자고 주장해왔던 것이 모처럼 결실을 맺은 셈이다. 그러나 대선후보들의 치열한 정치공방이 계속되고 있는 와중에 초당적으로 협력한다는 것이 말처럼 쉬운지 의문이고 이것마저 또하나의 정치쇼로 귀착되지 않을까 하는 의구심부터 갖게 되는 것도 자연스런 일이다. 어렵사리 열리는 협의회가 "우리는 충분히 협력할 의사가 있었다"는 명분쌓기에 그칠 것이라면 안하느니만 못할테지만 경제현안에 대한 양당과 정부,3자간의 인식차가 적지않은 터에 회의를 열어본들 실질적인 효과도 크지않을 것이라는 점 또한 충분히 예견되는 상황이다. 정책협의회가 성공적으로 가동되기 위해서는 정부측의 자세 전환도 긴요하다. 주5일제 기업연금제 등 논란이 적지않은 입법안을 정치권이 '초당적 협력'이라는 이름으로 무조건 받아줄 것으로 기대한다면 이는 너무도 편리하고도 일방적인 생각이다. 또 정부가 이들 법안의 처리지연 등을 정치권의 비협조 때문이라는 식으로 몰아간다면 이것이야말로 정권 말기의 정치와 경제 상황을 더욱 어지럽히는 책임 전가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정부는 각종 경제현안의 선후와 경중을 따져 긴급성이 높은 최소한의 안건 만을 협의회에 상정하고 이들 사안에 대해서는 반드시 협조를 얻어낸다는 실무적인 자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과가 어려울 것이 뻔한 안건을 무책임하게 던져놓아 여야간 논쟁만 격화시키는 우를 범하지 않아야 한다는 말이다. 문제는 정권 말기만 되면 경제와 관련된 '정치 리더십' 부재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는 점이다. YS정부 말기였던 지난 97년에도 그랬듯이 대선을 앞둔 지금 또 다시 정치리더십 공백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여당의 대통령 후보가 현직 대통령과 거리를 유지하면서 사실상 집권당이 존재하지 않는 정치상황이 초래됐고 그에 따라 온갖 경제 분야의 부작용이 되풀이 증폭되는 것도 당시와 다를 것이 없다. 여야와 정부가 한자리에 앉는 것 만으로도 경제불안 심리를 해소하는 데는 적지않은 상징적 효과가 있을 것이다. 기왕 정책협의회 구상이 나온 마당에 여·야·정이 보다 진솔한 자세로 경제불안 해소에 임해주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