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W. 부시 미국 행정부는 북한이핵 무기생산 종식과 무기사찰에 합의할 때까지 아시아 우방들이 경화(hard currency), 기타 경제원조, 국제친선을 허용하지 않길 바라고 있다고 미 정부 관리들과 전문가들이 말했다고 21일 로스앤젤레스 타임스가 전했다. 타임스는 이날 북한 핵 파문과 관련, '미, 북한 현금 햇볕차단 노력'제하의 국제면 주요 기사에서 전날 정부 관리 등 미 관계자들의 분위기를 전하면서 일부 일본언론이 1994년 북미 제네바기본협약에 따라 공사중인 경수로 2기의 일시적 건설중단도 고려되고 있다고 보도했으나 미 행정부 관리들은 이를 확인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라크에 대한 군사적 응징과 달리 북한 핵문제를 외교적으로 풀려하고 있는 부시 대통령은 주중 텍사스주 크로퍼드목장에서 열릴 장쩌민 중국 국가주석과의 미중정상회담, 26-27일 멕시코 북부 바하 칼리포니아주 로스 카보스에서 개최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연차총회를 통해 북한에 대한 압박강도를 점차 높여 나갈것이라고 신문은 밝혔다. LA 타임스는 미 행정부의 이같은 노력은 "지난 1994년 일촉즉발의 충돌위협과 같은 중무장된 북한과의 군사대결을 피하기 위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신문은 "미국은 북한 인접국들과 국제원조기관, 정치적 대화채널이 북한이 핵개발을 계속할 경우 잠재적 위험에 처할 수 있다는 일치된 경고 목소리를 내주길 희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북한 핵개발 파문의 외교적 해결에 "중국은 특히 결정적"이라고 지적하면서 타임스는 "이는 중국이 북한의 가장 중요한 교역 파트너인 데다 중국 지도부가 평양의 스탈린주의 정권과 가장 밀접한 유대를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타임스는 지난 9월17일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의 역사적 방북에 따라 다음 주 북일 국교정상화 회담을 앞두고 있는 일본의 역할 역시 중요하다고 지적, 미국은 일본이 전면적인 외교관계 수립을 추진하고 있음에도 불구, 북한당국에 보다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길 바라고 있다고 전했다.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김용윤 특파원 yykim@yonhap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