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금융시장 급등락 되풀이] '국내 사정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에서도 외국인 투자자금 이탈과 단기부동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주식 채권 수익증권 선물.옵션 등에 투자했던 외국인 자금은 지난 3.4분기에만 13억8천만달러 순유출(유입액-유출액)됐다.
올 1∼9월중 순유출액은 35억달러를 웃돈다.
외국인 자금유출에 따른 파장은 증시에서 두드러져 외국인들은 3.4분기중 1조4천억원어치의 주식을 순매도했다.
이에 따라 종합지수는 지난 7월9일 801.99에서 이달 10일 580대로 급락하기도 했다.
덩달아 환율도 이 기간중 1천1백60원대에서 1천2백60원대까지 1백원이상 치솟았다.
이처럼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시중자금이 대표적 안전자산인 국고채로 몰렸다.
국고채(3년만기)금리는 연초 연 6.15%에서 지금은 연 5.3%대로 낮아졌다.
또 다른 파급효과는 국내 자금의 단기부동화 현상.
현재 3백50조원을 웃도는 부동자금은 은행권의 단기예금상품에만 집중적으로 몰리고 있다.
예금금리가 사상 처음 연3%대에 진입한 것도 금리가 낮은 단기상품에 돈이 몰린 탓이다.
안재석 기자 yag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