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유럽 금리인하 압력 고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과 유럽에서 금리인하 압력이 고조되고 있다.
제로금리상태(0.1%)여서 추가인하 여지가 없는 일본은 금리인하 효과를 내는 통화공급 확대를 결정,사실상 인하압력을 수용했다.
세계경제 회복력은 약해지고 디플레조짐까지 겹치고 있어 금리인하 등 금융완화 정책이 세계경제의 동시침체를 막는 유일한 처방이란 목소리가 높다.
◆불가피해진 미 금리인하=미국은 국민들의 씀씀이를 보여주는 소비자 신뢰지수가 추락하고 있다.
민간 경제조사기관인 컨퍼런스보드는 29일 10월 중 소비자신뢰지수가 전달의 93.7에서 9년 만의 최저인 79.4로 추락했다고 발표했다.
이 지수의 급락으로 국내총생산(GDP)의 약 70%를 차지하는 소비지출이 감소,미 경제가 더블딥(짧은 회복후 재침체)에 빠질 수 있는 위험성이 커졌다.
이에 따라 이날 나스닥지수가 1.2% 하락하고 달러가치도 1백22엔대로 떨어졌다.
베어스턴스 모건스탠리 등 금융회사들은 소비자신뢰지수의 폭락으로 미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금리(현재 1.75%)인하가 임박했다고 예상했다.
인하시기는 내달 6일,인하폭은 0.25%포인트로 보고 있다.
◆인하압력이 고조되는 유로존=국제통화기금(IMF)은 이날 "유로존의 경기하강 위험이 커지고 있다"며 유럽중앙은행(ECB)에 대해 금리인하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IMF는 유로존 경제보고서를 통해 올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지난달의 0.9%에서 0.75%로 하향 조정한 뒤 "물가안정보다는 경기진작이 ECB의 최우선 과제"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독일의 산업생산이 감소하는 등 유로존의 경기둔화 기미가 역력하다.
이코노미스트들은 "유로존 인플레가 현재 2.1%로 억제목표치(2%)를 살짝 넘는 수준이어서 물가불안 우려는 크지 않다"며 "경기회복을 위해 ECB는 연내에 금리를 현행 3.25%에서 3%로 내려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통화확대 나선 일본=일본은행은 30일 디플레 타개 및 경제회생을 위해 국채매입을 늘리기로 하는 등 통화확대정책을 실시키로 결정했다.
월간 장기국채 매입액을 현행 1조엔에서 1조2천억엔으로 늘리고 당좌예금 잔액목표를 현행 10조~15조엔에서 15조~20조엔으로 확대하는 것이 통화확대책의 주내용이다.
일본은행은 "경제회복 징후가 나타나지 않아 통화확대책을 쓰기로 했다"고 밝혔다.
지난 상반기 중 회복세를 보였던 일본경제는 지난달 산업생산이 0.5% 줄고 수출도 2.3% 감소하는 등 다시 침체기미를 보이고 있다.
이정훈 기자 lee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