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채업자에 의한 가장 납입 사건이 발생한 우리은행 명동지점은 옛 상업은행 명동지점 시절부터 사채업자들의 불법거래 유혹이 많아 사고가 끊이지 않았던 곳이다. 대표적인게 지난 1994년 상업은행 L지점장 투신자살 사건. 당시 L지점장은 돈을 받지도 않은 상태에서 사채업자에게 양도성예금증서(CD)를 발행해 줬다가 제때 돈이 입금되지 않아 문제가 되자 자살했다. 사채업자와의 거래가 많기는 다른 은행도 마찬가지다. 한 시중은행 임원은 "명동지점의 거액 고객들은 상당수가 사채업자"라며 "은행간 실적경쟁을 벌이다 보면 사채업자를 고객으로 끌어 들이기 위해 그들의 '편의'를 봐주는 건 관행처럼 돼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은행의 명동지점장은 "사채업자들중에는 거액을 예치했다가 자신들의 요구를 들어주지 않으면 일시에 예금을 빼내가 지점실적에 타격을 주는 경우도 있다"고 전했다. 이처럼 사채업자로부터의 유혹과 압력에 시달리기도 하지만 명동지점장은 은행원들이 한번쯤 거치고 싶어하는 자리이기도 하다. 우리은행 명동지점의 경우 한국에서 땅값(표준공시지가 기준 평당 1억9백9만원)이 가장 비싼 곳인데다 전통적인 금융 중심지인 명동이란 상징성 때문에 이 은행의 간판 지점으로 통한다. 지난 1960년 문을 연 상업은행 명동지점은 주요 증권사 본점이 명동에 몰려있던 70∼80년대 전국 수신액 수위 자리를 다투던 노른자위 지점이었다. 다른 은행도 마찬가지여서 각 은행 명동지점장은 임원 승진 1순위로 꼽혔다. 이인호 신한은행장도 명동지점장을 지낸 뒤 이사대우 영업부장으로 승진했고, 손홍균 전 서울은행장도 명동지점장에서 곧바로 이사가 됐다. 차병석 기자 chab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