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플레 가능성 '논란' .. 내년 중반께 부동산값 폭락 징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고개드는 디플레이션 가능성
모건스탠리 아·태지역 이코노미스트인 앤디 쉬예(Andy Xie)는 최근 "빠르면 내년 중반께 부동산 가격의 폭락과 함께 한국에도 디플레이션이 찾아올 것"이라는 내용의 보고서를 내놓았다.
무역의존도가 국내총생산(GDP)의 83%나 차지하는 한국경제는 세계경제의 디플레이션 경향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것.
이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인 원화의 평가절하는 이미 디플레이션 상태에 있는 일본 등의 반발로 어려운 데다 저축률 하락에 의한 내수 증가가 한계에 다다른 현 상황에선 중앙은행의 금리정책도 큰 효과를 보지 못할 것이란 설명이다.
동원투신운용 이채원 자문운용본부장도 이날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한국 경제의 디플레이션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는 △기술의 급속한 발달에 따른 생산성 증대와 과잉공급 △저임금에 기반한 중국 제품의 세계 시장 진출 △인터넷 등 통신수단 발전 등으로 물가는 갈수록 싸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 본부장은 "언제가 될지는 불확실해도 한국도 디플레이션이란 세계적 추세를 피해가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만만치 않은 반대의견
아직 대다수 전문가들은 디플레이션 가능성이 낮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미래에셋 이종우 운용전략실장은 "디플레 가능성을 제기하는 것은 현실적인 거시경제에 대한 분석이라기보다는 지속되는 약세장에서 비관론자의 논리적 비약에서 비롯된 현상"이라고 말했다.
이 실장은 "디플레가 오기 위해선 공급과잉 상태와 함께 급격한 수요 위축이 동반돼야 되지만 아직 그럴 징후는 보이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대우증권 홍성국 투자분석부장도 디플레이션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다.
그는 △한국의 내수 비중이 선진국에 비해 낮고 △신세대를 위주로 왕성한 소비력을 보임에 따라 소득 증감에 대한 소비 변화가 적어지고 있는 점 등을 그 이유로 제시했다.
홍 부장은 "코스닥기업 등 정보기술(IT)분야의 구조조정이 올 연말 이후 활발히 진행될 것"이라며 "이는 IT분야의 공급과잉을 해소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메리츠증권 고유선 이코노미스트는 "기술 혁신에 의한 신수요 창출이 일어나며 2005년께부터는 미국을 시작으로 디플레이션 우려가 해소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상열 기자
mustaf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