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교체기를 틈타 사회 전반적으로 기강이 해이해지고 있는 가운데 공무원 증권거래소 노조 등 노동계가 다음주부터 총파업 등 대규모 투쟁에 나서기로 해 '동투(冬鬪)' 국면이 예고되고 있다. 공무원 노조는 1일 정부의 공무원조합법에 반발해 내주 초 사상 초유의 공무원 총파업에 들어가겠다고 선언했고 정부는 긴급 사회관계장관회의를 열고 강경대응 방침을 결정, 정면충돌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증권전산과 증권거래소 노동조합도 오는 4일부터 낙하산 인사를 저지하기 위해 총파업을 계획하고 있어 주식거래 중단이 우려되고 있다. 고용.산재보험 업무를 담당하는 근로복지공단노동조합도 임금인상 등을 둘러싸고 노동부와 기획예산처 등과 갈등을 빚은 끝에 7일부터 파업에 들어갈 계획이다. 의사들의 이익단체인 대한의사협회의 경우 지난달 31일 정부의 의료수가 인하방침에 반발해 총파업을 결정했다. 이런 가운데 한국노총과 민주노총 등 노동계 양대 단체는 주5일 근무제 도입을 위한 근로기준법 개정안의 국회통과를 저지하기 위해 강경 투쟁할 태세여서 정권 말 노.정 대충돌이 우려되고 있다. 이번 노동계 동투의 구심점은 근로기준법 개정안 국회통과 저지를 노리는 민주노총의 총파업이다. 민주노총은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주5일 근무제 도입을 위해 정부가 발의한 근로기준법 개정안을 이번 정기국회 상임위원회에서 처리하지 않겠다는 공식 입장을 4일까지 밝히지 않으면 오는 5일 오후 1시부터 총파업에 들어가겠다고 1일 밝혔다. 민주노총 손낙구 교육선전실장은 "현장 근로자들의 반발이 매우 심해 파업 동력은 충분하다"고 말했다. 한국노총도 근로기준법 개정안과 경제특구법, 공무원조합법을 '반노동 3대 악법'으로 규정하고 12월 대선 때까지 △국회 앞 릴레이 투쟁 △여야 정당 및 국회 상임위 방문 △전국노동자대회 등 투쟁수위를 높여나가기로 했다. 공무원 노조는 1일 기자회견에서 4일과 5일 집단연가 투쟁과 전국공무원노동자대회를 강행한다고 밝혔다. 공무원 노조는 지난달 28일부터 사흘간 실시한 찬반투표에 조합원 6만9천5백48명 중 5만6천4백11명이 참여, 89%의 찬성으로 쟁의행위 돌입을 결정했다. 이에대해 이근식 행자부 장관은 "연가 파업에 돌입하는 공무원에 대해서는 확인작업 후 법에 의한 최대한의 책임을 물을 것"이라며 "공무원 노조는 불법단체로 절대 용납할 수 없다"고 강경대응 입장을 표명했다. 한편 검찰은 이날 전국공무원노조가 정부의 공무원조합법 제정에 반대하며 집단연가 파업 등을 결의한 것과 관련, 노조 부위원장 고모씨 등 간부 8명에 대한 체포영장을 이날 발부받아 검거에 나섰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