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백악관이 운영하는 태스크포스가 이라크를 상대로한 전쟁계획 및 전후 이라크 재건방안에 대한 조율작업을 진행중이라고 미 시사주간지 US 뉴스 앤드 월드 리포트가 25일 보도했다. 이 주간지는 이날 최신호를 통해 지금까지 그 존재가 확인되지 않았던 `집행조정 그룹'(Executive Steering Group)이란 태스크포스가 이 작업을 맡고 있으며,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 중앙정보국(CIA), 연방수사국(FBI), 국무부, 국가안보회의(NSC)의 고위 당국자들이 멤버로 참여하고 있다고 전했다. 보도 내용에 따르면 이 그룹은 이라크전이 종료된 이후 적용할 3단계 전후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미군에 의한 군사통치와 국제 문민통치를 거쳐 새로운 이라크 민주정권을 수립한다는 것이 골자다. 또 2년내에 이런 절차를 완료한다는 일정도 제시해 놓고 있다. US 뉴스는 "조지 W. 부시 대통령이 이를 이행할 기회를 갖게 된다면 이는 제2차세계대전 이후 미국이 다른 나라에 개입한 사례중 가장 야심차고 잠재적 위험성을내포한 계획중의 하나가 될 것"이라고 논평했다. 미군은 특히 1년 가량 지속될 군사통치 과정에서 인도적 지원과 치안을 확립하는 한편 다수 시아파와 소수 수니파를 비롯한 부족간 대립을 최소화하는 등 여러가지 과제를 해결해야 할 것으로 지적된다. 이 주간지는 정부 고위 당국자들의 말을 인용, 이같은 이라크 재건계획은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이 주도한 전후 일본 재건과정을 모델로 삼지 않고 있으며, 이라크의 관료기능의 자취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관리형 군사통치자를 염두에 두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국방부 당국자들은 독일과 일본 통치에 관한 문서들을 연구하느라 바쁜나날을 보내고 있다고 주간지는 덧붙였다. US 뉴스는 두번째 단계로 제시된 국제 문민통치는 전후 아프가니스탄에 적용된유엔 통치와 비슷한 형태가 될 것이나 다른 대안도 모색되고 있다면서, 최종적으로는 대량살상무기를 보유하지 않는, 대표성을 지닌 다민족 정부에 권력이 귀속되는것으로 재건 절차가 종결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주간지는 그러나 국방부와 국무부, CIA가 이라크 반체제 단체의 역할을 둘러싼 의견 충돌이 빚어지는가 하면 이라크의 석유 판매대금에 대해서도 전쟁 비용에충당해야 한다는 견해와 이라크를 위한 인도적 지원에 사용돼야 한다는 견해로 엇갈리는 등 곳곳에서 이견이 노출되고 있다고 전했다. US 뉴스는 특히 유엔 무기사찰 결과에 따라 전쟁을 피할 여지는 남아있으나 미행정부의 대다수 당국자들은 사담 후세인 이라크 대통령이 결국 사찰단의 사찰활동을 저지해 충돌을 야기하게 될 것으로 확신하고 있다고 전했다. (뉴욕 교도=연합뉴스) jusa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