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말까지 정부가 금융회사 구조조정을 위해 투입한 공적자금 중 회수한 비율이 33%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26일 10월중 파산배당, 부실채권 매각 등을 통해 6,922억원을 회수, 10월말까지 회수한 자금은 51조5,000억원으로 회수율이 32.8%에 달했다고 밝혔다. 자산관리공사가 개별매각, 법원경매, 대우채권 회수 등을 통해 6,212억원을 거둬들였으며 예금보험공사가 파산배당으로 710억원을 회수했다. 이와 함께 10월중 투입된 공적자금은 제일은행에 대한 출연(풋백) 198억원, 신협 상호저축은행에 대한 예금대지급 353억원, 부실채권 매입 371억원 등 총 986억원으로 조사됐다. 지난 97년 11월부터 올해 10월말까지 지원된 공적자금은 157조1,000억원에 달했다. 한편 금융감독위원회는 공적자금 투입 금융회사에 대한 검사결과, 10월중 부실책임자 20명을 추가로 신분상 조치하고 4명에 대해 형사상 조치를 취했다. 이에 따라 10월말 현재 금감위로부터 신분상·형사상 조치를 받은 금융회사 직원은 각각 2,954명과 1,314명이다. 예금보험공사도 이같은 결과와 자체 부실원인조사를 토대로 10월중 부실관련자 31명에 대해 90억원의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했다. 10월말까지 예보가 손해배상을 청구한 부실관련자 및 보증인은 4,661명으로 손해배상 청구액은 1조2,959억원에 이른다. 한경닷컴 이준수기자 jslyd01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