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안전경영대상] (기고) 이문한 <서울대 수의과대학교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산업 발달과 더불어 현대인은 절대적 기아에서 벗어나 편리한 생활을 누리고 있지만 그 과정에서 의도적 혹은 비의도적으로 생성된 각종 화학물질로 건강을 위협받고 있다.
지구 환경뿐 아니라 사람의 씨를 말릴 수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내분비교란물질이 가축을 기르거나 어류를 양식할 때 성장촉진과 항균성 물질로 사용되고 있다.
이런 물질들이 축산물과 수산식품에 잔류할 수 있다.
또 식품의 주원료인 농산물도 다양한 종류의 농약이 사용돼 잔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래서 농약의 사용을 줄이고 생산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킨 유전자변형식품이 개발되고 있으나 그 안전성에 대한 각계 합의는 아직까지 도출하지 못한 실정이다.
게다가 각종 항균성 물질의 오.남용으로 내성균 즉,수퍼박테리아가 출현해 이를 사용한 농.축산물은 식품을 통해 사람에게 질병을 유발시킬 가능성도 있다.
특히 최근에는 단체급식이 늘어나면서 비위생적인 관리로 인한 식중독 사고가 빈번해졌고 급기야는 여름철에 수산식품을 섭취하다 식중독을 일으켜 사망하는 사례까지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미생물학적 위해를 줄이기 위한 방사선 조사는 아직 초보단계다.
이런 영향 때문인지 요즘 대학에서는 과거에 식품화학이나 식품위생학으로 다루던 것을 식품독성학이라는 교과목으로 개설해 강의하고 있다.
지난 10년 동안 정부는 농산물,축산물,수산물 등의 유해물질 잔류허용기준과 미생물 규격을 설정해 외국에서 수입하거나 국내에서 생산하는 농수축산물에 대한 잔류량과 오염조사를 실시해왔다.
이른바 "농장에서 식탁(farm to table)까지" 식품안전성 확보에 노력해온 것이다.
하지만 식품 원료의 생산,가공,유통 그리고 조리 과정에 각종 위해요인들이 도사리고 있기 때문에 그 실효를 거두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 군소 식품업체가 난립돼있어 부정식품에 대한 우려가 상존하고 있으나 이를 감시할 수 있는 인력과 장비,예산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정부는 제조물책임(PL)법과 식품회수제도를 도입하면서 식품의 안전성 확보에 대한 책임을 식품업계에 부과하고 있다.
업계로서는 상당한 부담을 느끼고 있지만 일련의 노력이 수반되지 않으면 해당 기업 혹은 상품에 대한 신뢰도는 상실할 것이다.
정부가 모든 것을 책임지고 관리할 수는 없다.
따라서 식품 업체들은 식품유형과 위해요인은 물론 식품 생산에서부터 소비까지 단계별로 위해도 평가를 거쳐 위해도가 큰 부문에 대해서는 집중관리제를 도입해야 할 것이다.
정부도 해야할 역할이 있다.
현재까지 도입한 제도를 바탕으로 상당 부분은 민간에 넘겨 스스로 책임지도록 하고 식품원료 생산자,가공업자,유통업계 그리고 소비자에 대한 홍보와 교육을 더 강화해야 할 것이다.
(능률협회컨설팅 2002 식품안전대상 심사위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