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 KOREA] 제2주제.끝 : (18) 中 하이테크공업단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 10월17일 중국 광둥성 선전의 하이테크공업단지.
위유쥔(于幼軍) 시장을 비롯한 선전시 시정부 관계자들이 몰려들었다.
해외 취재진도 눈에 띄었다.
이들은 '오라클 선전 R&D(연구개발)센터' 개소식에 모였다.
오라클의 아시아 첫 R&D센터 개소행사가 세계 IT업계의 관심을 끌었던 것이다.
위 시장은 "오라클 R&D센터로 선전은 이제 아시아의 IT분야 R&D 허브로 등장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오라클 R&D센터의 케빈 월시 연구원은 "R&D 합작파트너인 롄샹(聯想)과 힘을 모아 중국 소프트웨어기술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오라클뿐만 아니다.
같은 10월에만 노키아가 항저우에 통신기술 R&D센터를 설립했고, CA는 쓰촨 청두에,델컴퓨터는 상하이에, 브로드비전은 쑤저우에 각각 R&D센터를 열었다.
현재 중국에 설립된 선진 외국기업의 R&D센터는 1백여개.
올들어서만 30개가 들어섰다.
모토로라의 경우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지에 18개를 설립, 운영하고 있다.
한국기업으로서는 삼성이 베이징 중관춘(中關村)에 R&D센터를 운영하고 있고 LG전자 SK 등도 최근 베이징과 상하이에 각각 연구개발 센터를 냈다.
중국 대외경제무역합작부 다국적 기업연구소의 왕즈러(王誌樂) 소장은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이후 다국적 기업의 중국 R&D센터 설립 붐이 중국전역에 퍼져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다국적 기업 R&D센터가 중국으로 몰리는 가장 큰 이유는 '시장'이다.
중국 R&D센터에서 거대한 현지시장에 맞는 제품과 기술을 개발하겠다는 것이다.
인재 활용도 또 다른 이유의 하나로 꼽힌다.
중국에는 값싸고 우수한 IT 인재가 풍부하다.
최근 미국 유럽 등지에서 유학을 마치고 돌아온 해외파들도 많다.
델컴퓨터의 상하이R&D센터 켄 랑세 소장은 "2백70명 연구원중 전원을 중국인재로 채용했다"며 "이들의 평균 연봉은 1만2천달러로 미국의 9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다국적 기업은 또 중국 R&D센터를 글로벌 비즈니스 전략 차원에서 활용하고 있다.
중국 R&D센터를 아시아공략의 전진기지로 삼겠다는 구상이다.
왕즈러 소장은 "다국적 기업의 R&D센터 설립은 중국의 막강한 제조업 능력과 기술을 융합하려는 시도"라고 분석했다.
중국 정부 역시 외국기업의 R&D센터 유치를 통해 연구개발 수준을 제고, 산업경쟁력을 끌어올리겠다는 전략이다.
베이징 시정부는 R&D센터 설립에 필요한 장비 도입에 대한 세금면제 등을 담은 '해외 R&D센터지원 규정'을 내놓았다.
베이징=한우덕 특파원 woody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