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통령 선거에 나선 새천년민주당의 노무현 후보는 독일 통일 사례를 교훈으로 삼아 남북한의 조속한 통일보다 한반도 평화와 자유 정착을 중시하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6일 독일의 일간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FAZ)이 보도했다. 이 신문은 노무현 후보와 단독 회견을 해 서울발로 낸 기사에서 노 후보가 햇볕정책을 가장 훌륭한 대북정책으로 평가했다고 전했다. 노 후보는 북한이 핵개발을 중단해야 고립에서 벗어나고 대규모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설득하며 핵포기 압박을 지속해야 하지만 경제제재나 군사적 압박은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며반대했다고 이 신문은 밝혔다. 노 후보는 젊은 시절 주한미군 철수를 요구한 적이 있고 미국을 한 번도 방문한 일이 없으나 자신을 좌파적 반미주의자로 분류하는 야당의 주장은 전혀 근거가 없는 것으로 반박했다고 이 신문은 소개했다. 노 후보는 "미국과 협력할 수 있으나 이 협력이 한국인에게 어떤 의미가 있고 어떤 이익을 주는 지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 "고 말해 그 동안의 대통령들에 비해 대미관계에서 한국의 이익을 더 이끌어 내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고 이 신문은 평가했다. 노 후보는 "자본주의 체제에서는 빈자와 부자가 있는데 누군가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무엇을 하면 부자들에게 정치적 좌파로 간주된다"고 주장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이 신문은 독학의 인권 변호사 출신인 노 후보가 "한국 정치인으로는 특이하게 대학을 다니지 않았다"면서 경쟁자인 한나라당의 이회창 후보는 유복한 가정에서자라나 훌륭한 학교를 다녔고 출세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다고 소개했다. 한편 한국인들은 새 대통령이 선출되면 그 동안 햇볕정책을 추진하면서 다루지 못했던 하나의 금기 즉, 1955년 이후 납북된 한국인 문제의 해결을 희망하고 있다고이 신문은 덧붙였다. 일본은 북한을 상대로 일본인 납치 시인과 생존자 일시 귀국을이루어냈지만 한국 피납자 가족들은 정부 지원을 받지 못하며, 노 후보는 김대중 대통령처럼 북한의 해명을 요구하는 자세를 보이지 않는다고 이 신문은 주장했다. (베를린=연합뉴스) 최병국 특파원 choib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