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이 경쟁력이다] LG : 계열사별 환경경영시스템 구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LG는 환경친화도가 경쟁력 확보와 지속 성장의 핵심요소라는 판단 아래 환경경영에 대한 높은 관심과 투자를 통해 미래경쟁력 확보에 나서고 있다.
LG는 이미 지난 95년 경영활동 전반에 걸쳐 환경문제를 최우선으로 삼겠다는 구본무 회장의 경영의지에 따라 'LG환경위원회'(현 LG환경안전협의회)를 발족시켰다.
LG화학 LG전자 LG칼텍스정유 등 13개 계열사 대표이사가 참여하는 환경위원회와 실무팀장으로 구성된 실무위원회를 매년 개최하고 있다.
지난 97년에는 '환경선언'을 선포한데 이어 LG의 전반적인 환경경영 실무업무를 수행하는 'LG환경.안전연구원'을 설립했다.
이 연구원은 LG의 ESH(환경.안전.보건) 정책방향을 수립하고 있으며 '청정기술개발센터'를 통해 독창적인 고효율 환경기술을 개발하는 성과도 거뒀다.
LG는 각 계열사별로도 특성에 맞는 환경경영시스템을 구축하고 효율적 환경관리체제를 정착시켜 나가고 있다.
LG화학은 환경선언문 제정과 전사 환경안전위원회 운영, 환경친화제품 개발 등 경영전반에 환경친화적 경영을 펼치고 있다.
폐수와 폐기물 배출 제로화를 추진하고 청정기술을 개발하는 등 '그린경영' 실현에 최선을 다해 왔다.
그 결과 LG화학은 여수공장 청주공장 등 전국 6개 주요 사업장이 환경부로부터 '환경친화 사업장'으로 지정됐다.
LG칼텍스정유는 환경보전을 최우선의 핵심 경영과제로 설정하고 공해 및 오염방지에 적극적인 투자를 아끼지 않았다.
종합환경마스터플랜에 따라 휘발성 물질의 대기방출 억제시스템인 'LDAR시스템'으로 대기 배출율을 90%이상 줄였다.
지난 97년엔 세계 최초로 먹는 샘물용 폴리프로필렌(PP) 소재를 개발하기도 했다.
LG정유는 지난 99년 환경대상을 수상했고 ISO14001 환경인증을 획득했다.
LG전자는 지난 96년부터 전과정평가(LCA) 시스템을 통해 제품 개발의 전 과정에 걸쳐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파악하고 정량화해 과학적으로 분석.관리하는 한편 '환경친화적 설계(DfE)'를 이용해 설계단계에서부터 폐기물을 줄여나가고 있다.
이를 통해 디오스 냉장고의 오존파괴지수를 줄이고 X캔버스 PDP(벽걸이)TV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소시켰다.
플래트론 모니터의 경우 국내 환경마크와 유럽의 환경마크를 취득해 환경규제 강도가 높은 해외지역 수출에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해 8월엔 경남 칠서지역에 '리사이클링 센터'를 설립해 연간 25만대의 폐가전 제품을 재활용하고 '친환경 부품 공급 시스템'을 국내 최초로 도입했다.
LG생활건강은 청주공장 분말세제 공장의 '폐수발생 제로화 프로젝트'를 추진, 기존의 6단계 생산공정을 2단계로 줄여 오.폐수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 세계적 환경기술을 개발했다.
96년 하루 평균 5백10t이었던 폐수를 '완전 제로화'하는데 성공한 케이스다.
이를 통해 기존 공장에 비해 생산성이 3백%나 늘어나고 전력소비는 75% 감소하는 등의 성과를 거뒀다.
손희식 기자 hssoh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