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경쟁력 제고와 근로자 삶의 질 향상이란 상생(相生)의 신노사문화 확산을 목적으로 노동부와 본사가 공동으로 3년째 추진해 온 신노사문화 운동이 산업현장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는 가운데, 지난 금요일엔 10개 신노사문화 우수기업을 시상하고 이를 축하하는 노사 한마음 대축제가 열렸다. 수상업체 가운데엔 노사가 힘을 합쳐 일류기업으로 발돋움하는 곳이 있었고, 쓰러져 가는 회사를 재건시킨 곳도 있었다. 우리의 노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 무엇인지 분명하게 제시해 주는 대목이 아닐 수 없다. 그럼에도 전반적인 노사관계는 아직도 소모적이고 대립적인 관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국제 비교에서 최하위권으로 평가받는 등 후진성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특히 대선을 맞아 분배우선의 논리와 반기업 정서가 횡행하고 있는가 하면, 심지어 투쟁적인 노사관계를 부추기는 듯한 분위기까지 형성되고 있는 것은 우려스런 일이다. 일부 대선후보들은 재벌해체와 노동자의 경영참여권 보장을 주장하면서 시장경제와 자본주의의 근간 질서를 흔들고 있다. 비정규직 차별철폐라는 명분 아래 지금도 수준 이하인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더욱 악화시키려 하고 있다. 지극히 위험한 발상이자 시대흐름에도 역행하는 일이다. 내년 경기가 나빠질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이런 인기영합적인 대선 분위기의 영향으로 앞으로 노사관계가 크게 불안해질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는 것은 결코 기우라고 하기 어렵다. 주5일제 근무 조기도입, 산별 노조에 의한 임단협 등 갖가지 쟁점 때문에 내년 춘투가 어느 때보다 과격한 양상을 띨 것이란 전망까지 나오고 있는게 사실이다. 이런 기류가 빚어낼 결과는 정말 걱정스럽기만 하다. 그러잖아도 '투쟁적 노조'가 외자유치에 걸림돌이 되고 있고 인건비 부담과 노사갈등으로 해외이전을 고려하는 기업이 속출하는 상황이고 보면 대량실업과 제조업 공동화는 남의 일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도 이제는 시대적 패러다임에 걸맞은 노사관계가 무엇이고 어떻게 정착시킬 것인지 모두가 진지하게 고민해봐야 한다. 그것은 두말할 것도 없이 노사대립을 청산하고 법과 원칙을 중시하는 합리적인 노사문화를 만드는 일이다. 신노사 문화 우수기업들이 하나같이 높은 생산성과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고용의 안정성이 보장되는 출발점은 다름 아닌 협력적인 노사관계에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