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9일자) 국가경제 생각하는 주권행사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오늘 제16대 대통령을 뽑는 선거가 실시된다.
두말할 나위도 없이 국운이 걸린 국민적 선택이 이뤄지는 지극히 중요한 날이다.
다행히 지역대립적 구조는 적잖이 희석되었지만 이념간,세대간 갈등 구도가 그 어느때보다 심화되고 있는 것이 이번 대통령 선거의 두드러진 특징이다.
국가의 명운을 가를 굵직한 이슈만 하더라도 북한 핵 문제 등 한두가지가 아니다.
성장이냐 분배냐는 문제도 그렇지만 기업정책이나 사회복지,정치개혁과 부패청산 문제 등에 이르면 유력한 두 후보의 입장 차이가 워낙 뚜렷하다.
때문에 선거일이 다가오면서 후보 지지자들 간에 사회적,이념적 갈등까지 확대 증폭되는 정도다.
세대별 이념의 차이가 적지않고 그런 점은 선거 이후에도 두고두고 정치 경제 사회 각 분야에 걸쳐 갈등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그런 점에서 이번 선거는 단순히 5년간의 대통령 후보를 선택하는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고 봐야 할 것이다.
대통령을 어떤 사람으로 뽑느냐는 차원이라기 보다 어떤 국정이념을 선택하느냐는 중차대한 결정인 만큼 국민 모두의 적극적인 참여와 주권행사가 요망되는 건 너무도 당연하다.
역사를 돌아보더라도 결정적 시기에 지도자를 잘못 혹은 잘 선택함으로써 국가의 운명이 엇갈렸던 사례가 한두번이 아니다.
경제문제에 이르면 더말할 나위도 없다.
정치란 것도 궁극적으로는 경제적 이해관계를 조절하는 장치이고 보면 결국은 경제 정책에 대한 선택이 후보선택의 유력한 기준이 되어야 한다는 것은 너무도 분명하다.
어떤 후보가 경제 원칙에 더욱 충실한지, 과연 어떤 후보가 우리 경제를 살찌우기 위한 장기적인 비전과 의지를 갖고 있는지가 후보선택의 기준이 되어야 할 것임은 길게 설명할 필요가 없다.
급변하는 국제경제 환경을 돌아보면 더욱 그렇다.
일본과 통일독일이 10년째 경기 침체에 허덕이고 있고 중국의 성장이 주변국 경제와 산업을 빠른 속도로 공동화시키는 등 세계경제의 틀 자체가 바뀌는, 말 그대로 전환기적 상황에 놓여 있다.
남미는 포퓰리즘의 함정에 빠져 허덕이고 유럽 역시 복지병의 늪에서 허우적대는 것이 지구촌의 모습이기도 하다.
IMF 외환위기의 터널을 이제 겨우 헤쳐나온 우리로서는 앞으로 5년간 국가경제 기반을 더욱 굳건히 하느냐 그렇지 못하느냐에 따라 국가의 명운이 가름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번 선거는 그런 점에서 다른 어떤 때보다 결정적 중요성을 갖는다는 점을 명심하고 국민 각자가 저마다의 소중한 한표를 행사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