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 당선자는 불확실한 경제상황을 감안해 하이닉스 등 한계(부실)기업을 신속하게 처리,제조업 성장 잠재력 확충에 적극 나서야할 것으로 재계는 보고 있다. 또 과거 '빅딜(대기업간 사업교환)'과 같은 인위적인 산업 재편은 시도하지 말아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삼성경제연구소 김성표 수석연구원은 "일부 구조조정 사안들은 그동안 정치권의 이해관계 상충이나 관심 부족으로 지연돼 왔다"며 "이를 빨리 해소해야 새로운 성장엔진을 찾고 성장잠재력도 키울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시급한 구조조정 현안=채무 재조정안 의결이 보류되고 있는 하이닉스처리가 우선 문제다. 대선 공약으로 소액 주주들에 대한 차등감자안이 거론된 만큼 어떤 형태로든 새 정부의 개입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현대건설 대우건설 쌍용자동차 범양상선 대우조선해양 대우종합기계 등 채권단이 최대 지분을 갖고 있으면서 경영이 정상화된 기업들은 하루 빨리 '주인'을 찾아줘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한 회사 관계자는 "지금까지 구조조정이 생존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면 앞으로는 중장기 경쟁력 강화에 역량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인천정유와 현대석유화학 매각작업 등 에너지·화학업계의 구조조정도 더이상 미룰수 없는 과제다. KP케미칼 새한 경남모직 등 섬유업체와 나산 신원 등 패션의류업체들은 그동안 구조조정을 통해 회생의 기반을 마련한 만큼 매각을 서둘러야 한다는게 중론이다. ◆제조업 성장기반 확충=외환위기 이후 자동차 전자 반도체 철강 석유화학 조선 기계 등 주력 제조업이 건재하고 있지만 세계 일류기업들과의 경쟁력 격차는 여전하다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최근 국내기업들의 실적 호조도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등 일부 기업들의 고수익에 따른 '통계적 착시'의 성격이 강하다. 고려대 박광태 교수(경영학과)는 "기업들의 경영실적이 좋아지긴 했지만 지속적인 성장가능성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린다"며 "현재 국내 기업들은 신규투자에 소극적일 뿐 아니라 세계적 수준에 올라 있는 품목 역시 많지 않다"고 말했다. 재계는 그러나 노무현 당선자가 산업경쟁력 강화를 빌미로 과거 산업합리화 조치나 빅딜과 같은 강압적인 산업재편 정책을 펴서는 안된다고 강조하고 있다. 기업경쟁력 향상을 위한 정부의 역할은 경영환경 개선이나 규제완화 등의 분야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것이다. 조일훈·정태웅 기자 ji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