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 당선자는 연말께 정책실무형의 정권인수위를 구성,내년초부터 본격적인 정권인수 작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노 당선자는 지난 21일부터 1박2일 일정으로 제주도에 내려가 이같은 내용의 정권인수위 구상을 가다듬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낙연 대변인은 22일 "권력 중심의 정치형이 아닌 정책 중심의 실무형 인수위가 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IMF 외환위기에 대처해야 했던 5년전과 달리 지금은 평상적 상황이어서 정책의 일관성을 살려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또 "노 당선자는 인수위에 대해 내년 2월25일 취임 이전까지 정부 각 부처의 주요 정책과 업무를 파악,분석하고 그에 대한 평가와 대안을 마련하는 역할을 맡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인수위의 인적구성도 새 정부에서 장관직을 맡을 인사나 정치인의 참여는 최소화될 것으로 보인다. 인수위원장으로는 정동영 국민참여운동본부장과 5년 전 인수위에 참여한 경력이 있는 이해찬 선대위 기획본부장,당내 정책통인 임채정 선대위 정책본부장의 기용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5∼6명의 분야별 분과위원장으로는 정무에 유시민 개혁국민당 대표와 이강래 의원,경제에 정세균 강봉균 의원,사회·교육·문화에 함승희 이미경 의원,통일·외교·안보 분야에 유재건 의원의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 분과위별로 구성될 정책조언그룹에는 유종일,장하원,서동만,임혁백,정해구,이종태 교수 등 대선공약 개발을 도왔던 자문교수단과 당내 정책전문위원들이 상당수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김병일 기자 kb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