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대 대선이 끝나기가 무섭게 정치권에 개혁바람이 세차게 몰아치고 있다. 12.19 대선 과정에서 정치권의 자기정화를 바라는 유권자들의 변혁욕구를 확인했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드러난 개혁의 골자는 △중.대 선거구제 도입 △중앙당 축소 △지구당 폐지 △원내정당화 △권력분산 개헌 등이다.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는 23일 "중.대선거구 문제를 정치권과 협상해야 한다고 대선전에 말했다"며 정치권에 '개혁'의 화두를 던졌다. 중.대선거구제는 한 선거구에서 2∼5명의 국회의원을 선출, 특정지역을 특정정당이 독식하는 폐단을 방지하기 위한 제도다. 민주당은 전날 개혁파 의원 23인이 중앙당축소, 원내정당화, 진성당원화 등을 주장한데 이어 이날 한화갑 대표가 최고위원회의에서 "당내 의견을 수렴하고 의원들의 주장을 반영하기위한 기구를 출범시키겠다"며 '당개혁특위' 구성 의사를 밝혔다. 아울러 노 당선자는 이날 "민주당이 2004년 총선에서 집권당이 될수도 있고 프랑스식 동거정부가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총선에서 야당이 과반의석을 확보할 경우 총리지명권을 야당에 주겠다는 얘기다. 권력의 일정부분을 분점하겠다는 의지가 담긴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여기서 한발 더나아가 개헌추진에 나설 경우 정치권은 일대 재편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나라당 의원들도 정치개혁에 공감을 표하고 있다. 최병렬 선대위 공동의장은 "국민이 정치에 대해 정쟁과 부패문제 때문에 염증을 느끼고 있다"면서 "선거분야에서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완전공영제와 중.대선거구제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나라당 개혁파 의원 모임인 미래연대 희망연대 의원들은 이날 중앙당 축소, 원내정당화, 자유투표제 등을 정당개혁 방안으로 제시했다. 중.대선거구제는 지난 2001년 7월 헌법재판소가 현행 선거법상 비례대표 의석배분 방식과 1인1표제에 대해 위헌결정을 내린후 정치권에서 1인2표제에 의한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 도입론과 함께 국회 정치개혁특위에서 검토됐었다. 김병일.김동욱 기자 kb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