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흥은행 인수전이 신한금융지주회사로 가닥을잡으면서 은행권의 `빅뱅'이 본격화될 조짐이다. 양 은행간 `짝짓기'가 최종 성사될 경우 하나.서울은행 통합에 이은 업계 2위의초대형 은행의 출범으로 기존 은행권에 한바탕 지각변동을 몰고올 것으로 예상된다. 신한금융지주가 조흥은행을 인수할 경우 자산규모는 136조5천억원으로 국민은행(204조원)에 이어 단번에 업계 2위로 도약하게 된다. 우리은행(94조5천억원)과 하나.서울은행(86조원)은 각각 3위와 4위로 밀려나게된다. 이에따라 국내 은행권은 자산규모를 기준으로 국민.신한(조흥인수시).우리.하나가 `4강(强)체제'로의 입지를 굳힐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계는 이들 4개 은행이 내년에는 자산규모가 100조원(내년 기준) 이상으로커짐에 따라 영역다툼을 통한 은행간 생존경쟁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나머지 외환.제일.한미은행 등 `3약(弱)'은 내년중 본격적인 인수.합병 회오리에 빨려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중 가장 우선적으로 M&A시장에 나올 은행은 한미은행이라는 분석이 많다. 한미은행 대주주 칼라일은 신한지주의 조흥은행 인수가 성사될 경우 지분매각기회를 놓칠 것이라는 위기의식에 따라 내년초부터 매각작업을 서두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인수처로는 시중은행중 유일하게 인수여력이 있는 국민은행이 거론되고 있지만제일은행이 조흥은행 인수에 실패할 경우 한미은행쪽으로 눈을 돌릴 가능성이 커 보인다. 국민은행은 한미은행을 합병하기 보다는 자은행으로 두는 방안을 적극 검토중인것으로 알려졌으며 칼라일측과는 가격에 관한 입장 차가 큰 것으로 전해졌다. 그동안 시중은행중 합병논의에서 비켜서 있는 은행은 정부와 독일 코메르츠은행이 대주주인 외환은행도 내년초부터 피합병 논의가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연합뉴스) 노효동기자 rhd@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