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업 최대변수는 M&A" .. 59개 증권사 설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증권사들은 향후 예상되는 국내 증권산업의 가장 큰 변화 요인으로 M&A(기업인수합병)를 꼽았다.
구조조정이 지연되고 있는 것은 합병에 따른 시너지효과가 적기 때문인 것으로 지적됐다.
한국증권업협회는 최근 국내에서 영업하는 59개 증권사(국내사 42개, 외국사 17개)를 대상으로 '증권산업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이 조사에 따르면 응답 증권사의 54%가 향후 증권산업을 둘러싼 금융환경의 가장 큰 변화는 금융회사간 M&A 및 제휴 확대가 될 것이라고 답했다.
다음으로는 금융회사의 업무 겸업화 확대(27%)가 꼽혔다.
증권산업의 구조조정 지연 이유에 대해서는 업무 유사성에 따른 합병 시너지효과 미흡이라는 응답이 53.2%로 가장 많았다.
실제 합병 추진시 가장 크게 고려하는 사항으로 58.1%가 합병 양사의 차별화될 업무영역이라고 밝혔다.
국내 증권산업의 가장 큰 문제점은 사업다각화를 이루지 못하고 거래수수료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점(42.2%)과 경쟁 심화로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는 점(42.2%)이라고 증권사들은 지적했다.
내년 6월 말 종합주가지수 예상치를 묻는 질문에 대해 55.6%가 800∼900 사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700∼800 전망은 20.4%였으며, 900∼1,000에 달할 것이라는 응답도 16.7%나 됐다.
내년 6월 말 코스닥지수는 44%가 60∼70선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
내년 말 코스닥지수는 30%가 80∼90을 전망했으며 70∼80은 22%, 60∼70은 20%였다.
국내 증시의 본격적인 회복시기는 39.7%가 내년 1.4분기, 37.9%는 2분기로 점쳤다.
김철수 기자 kcsoo@hankyung.com
구조조정이 지연되고 있는 것은 합병에 따른 시너지효과가 적기 때문인 것으로 지적됐다.
한국증권업협회는 최근 국내에서 영업하는 59개 증권사(국내사 42개, 외국사 17개)를 대상으로 '증권산업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이 조사에 따르면 응답 증권사의 54%가 향후 증권산업을 둘러싼 금융환경의 가장 큰 변화는 금융회사간 M&A 및 제휴 확대가 될 것이라고 답했다.
다음으로는 금융회사의 업무 겸업화 확대(27%)가 꼽혔다.
증권산업의 구조조정 지연 이유에 대해서는 업무 유사성에 따른 합병 시너지효과 미흡이라는 응답이 53.2%로 가장 많았다.
실제 합병 추진시 가장 크게 고려하는 사항으로 58.1%가 합병 양사의 차별화될 업무영역이라고 밝혔다.
국내 증권산업의 가장 큰 문제점은 사업다각화를 이루지 못하고 거래수수료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점(42.2%)과 경쟁 심화로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는 점(42.2%)이라고 증권사들은 지적했다.
내년 6월 말 종합주가지수 예상치를 묻는 질문에 대해 55.6%가 800∼900 사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700∼800 전망은 20.4%였으며, 900∼1,000에 달할 것이라는 응답도 16.7%나 됐다.
내년 6월 말 코스닥지수는 44%가 60∼70선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
내년 말 코스닥지수는 30%가 80∼90을 전망했으며 70∼80은 22%, 60∼70은 20%였다.
국내 증시의 본격적인 회복시기는 39.7%가 내년 1.4분기, 37.9%는 2분기로 점쳤다.
김철수 기자 kcs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