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는 북한이 핵무기 제조 계획을 포기하지 않을 경우 경제 및 군사적 압박수위를 높여 나가는 내용의 새 봉쇄정책을 마련했다고 뉴욕타임스 CNN 등 미 언론들이 행정부 고위 관리들의 말을 인용,28일 일제히 보도했다.

뉴욕타임스는 이날 미 행정부 관리들이 북한을 국제 사회로부터 고립시키는 내용의 '맞춤형 봉쇄(tailored containment)'정책을 핵개발 야망을 꺾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믿고 있다고 전했다.

'맞춤형 봉쇄'란 용어는 북한 문제가 이라크나 이란과는 완전히 다른 상황이라는 의미에서 나온 것으로 주로 정치 및 경제적 압력과 동맹국간 협력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이 신문은 설명했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맞춤형 봉쇄정책은 유엔안전보장이사회가 경제 제재조치를 취해 북한을 압박하고 해외로부터 북한에 자금이 흘러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미국이 북한의 미사일 선박이동을 차단할 가능성을 담고 있다.

또 북한의 주변국에 북한과의 경제 교류를 줄여나갈 것을 권고하는 내용도 들어있다.

미국 행정부는 북한 정권을 붕괴시킬 의도는 없지만 만약 북한이 핵 개발 정책을 포기하지 않는다면 봉쇄정책의 강도를 높여 나가고,그 결과 북한은 경제적으로 붕괴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중국 등 북한 주변국들은 이 지역이 혼란에 빠지는 상황을 두려워하기 때문에 미국이 북한의 붕괴를 초래할 수도 있는 적극적이고 강도 높은 압박에는 나서지 않을 것이라고 뉴욕타임스는 분석했다.

CNN은 "미국 행정부는 북한이 핵 개발을 포기하지 않는 한 대화에 나서지 않을 방침이며 한국 일본 등 주변국도 북한에 대해 원조를 중단할 것을 요구하는 등 새로운 조치를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최인한 기자

janu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