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문재인 전 대통령)은 (윤석열 대통령이) 탄핵됐는데 대선에서 지면 최악이라는 두려움이 있다."김한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31일 CBS라디오 '박재홍의 한판 승부'에서 "정권을 뺏긴 뒤 본인도 수사를 많이 받고 여전히 받고 있는 상황이기에 그런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다"며 "여론조사 추이를 보면 민주당이 100% 이긴다고 확신할 수는 없는 상황이 되어 '반드시 이겨야 한다'는 욕구가 되게 강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문 전 대통령은 지난 30일 경남 양산 사저를 찾은 이재명 민주당 대표에게 "비판적인 분들도 포용해야 한다"며 "이 대표 혼자 어려우니 주변에서도 도와줘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경수 전 경남지사, 대구·경북의 김부겸 전 국무총리를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의원은 "문 전 대통령도 이재명 대표가 대통령 후보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건 알고 있다"며 "이를 바꾸기 위해 다른 후보들을 띄워주겠다는 것이 아니라 이재명 후보가 대통령이 되기 위해 필요한 것이 여러 정치인들을 아우를 수 있는 포용력·확장성이라고 생각해 그런 말씀을 한 것 같다"고 했다.이어 "당내에서 대선후보로 나오고 싶어 하는 분들도 이재명 대표가 대선후보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다 아는 것 같다"며 "그분들은 '내가 꼭 대통령 후보가 되어야 한다'라기보다는 그래도 경선은 하고 대선후보를 뽑아야지 민주당 성격에 맞고 대선에 도움 될 것 아니냐, 이런 인식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
우상호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조기대선이 치러질 경우 민주당 입장에선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을 상대하는 것이 쉽다고 말했다. 우 전 의원은 지난 31일 오후 YTN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권영세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이 '흑묘백묘론'을 언급한 이재명 민주당 대표를 향해 "검든 희든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길 수 없다"고 발언한 것과 관련한 질문을 받았다. 그는 "흑묘백묘론을 받아치는 조어 공격이지만 대한민국이 어물전이고 대한민국 국민이 생선이라는 소리냐"며 "'이재명 안 된다' 것을 강조하기 위해 비유를 들어 받아치려는 의도는 알겠는데 표현을 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민의힘 차기 후보로 김문수 장관, 오세훈 서울시장, 홍준표 대구시장, 한동훈 전 대표가 부상하고 있는 여론조사 결과에 관해선 "김문수 장관이 박근혜 탄핵 때 반대했고 이번에 전 국무위원이 사과 인사할 때 안 일어나고 앉아 있어 보수 지지층이 뭔가 뚝심 있는 보수의 지도자로 봤던 것 같다"며 "우리 입장에서 보면 김문수 장관이 대통령 후보가 되면 상대하기가 쉽다"고 봤다. 우 전 의원은 "그분의 살아온 삶이 대통령감은 아니기 때문"이라며 "극좌에서 극우로, 경기도지사 하다가 대구 갔다가 서울로 왔다 갔다 하는 등 안정감 있는 후보로 볼 수 없다"고 덧붙였다.그는 "오세훈 후보가 상대하기 어렵다"며 "지난 20대 대선에서 이재명 후보가 0.74%포인트 차이로 패배했던 원인이 서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서울에서 이겨야만 이번 대선도 승리할 수 있는데 그런 측면에선 서울시장 출신 오세훈 후보가 (여권에서) 제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헌법재판소의 공정성 논란이 정치권을 강타했다. 국민의힘은 특히 특정 성향의 법관 모임인 '우리법연구회' 출신의 재판관들을 겨냥해 헌법재판소의 정치적 편향성을 부각하고 있다.31일 정치권에 따르면, 윤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8인의 헌법재판관 중 판사들의 사조직인 우리법연구회나 그 후신인 국제인권법연구회에 몸을 담았던 재판관은 문형배 헌재 소장 대행, 이미선·정계선 재판관 등 3인이다.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헌법재판소가 아니라 '우리법재판소'라는 비판까지 나오고 있다"면서 "공정한 판단을 기대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라고 지적했다.신동욱 수석대변인도 CBS 라디오에서 "헌재에 지나치게 특정 성향인 분들이 많이 가 있어서 대통령에 대해 심판했을 경우 그 결과에 국민이나 국민의힘이 수긍할 수 있겠느냐는 우려가 있다"고 꼬집었다.文 정부 시절 법조 고위직 대거 진출'우리법연구회' 회원 판사들은 문재인 정부를 거치며 법조 고위직에 대거 진출했다. 특히 우리법·국제법연구회 회장을 모두 지낸 김명수 전 대법원장이 재임하는 6년 동안 헌법재판관과 대법관 등 주요 보직에 이들이 다수 임명됐다. 그 결과 한때 대법관 14명 중 7명이, 헌재 재판관 9명 중 5명이 이들 단체 출신으로 채워지기도 했다.1989년에 출범해 2018년 해체된 '우리법연구회'에 몸을 담았던 이들은 약 150명 정도로 알려져 있다. 같은 기간 판사 재직자가 5000여명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전체 판사의 약 3% 수준이다. 인권법연구회 회원까지 포함하면 전체 판사의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