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세계 경제정책의 화두는 '리플레이션(reflation)'이다.

아시안월스트리트저널은 31일 "미국을 비롯한 각국 정부들이 상품가격의 추가하락에 따른 디플레(경기침체속 물가하락) 압력에서 벗어나기 위해 특단의 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이같이 전망했다.

리플레 정책이란 인플레를 피하면서 금리인하나 재정확대를 통해 경기를 자극하는 조치를 뜻한다.

지난해는 디플레(deflation) 더블딥(Double Dip·짧은 회복후 재침체) 등 'D'자의 해였다면 새해는 리플레 리커버리(recovery·회복) 등 'R'자의 해가 될 것이란 지적도 있다.

◆선진국들,리플레 정책 공조=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지난 11월 연방기금금리를 예상보다 큰 폭인 0.5%포인트 인하,지난 41년래 가장 낮은 1.25%로 떨어뜨렸다.

유럽중앙은행(ECB)도 물가상승보다는 경기 둔화의 우려가 높다고 판단,지난 5일 정책 금리를 0.5%포인트 낮췄다.

ECB는 인플레 억제목표치(현재 2%)를 상향조정,통화 공급을 늘릴 것을 검토 중이다.

일본도 리플레 정책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구로다 하루히코 재무성 국제금융담당 차관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디플레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선진국들이 통화 정책의 기조를 리플레로 바꿔야 한다"고 공개적으로 주장하고 있다.

◆효과는 미지수=선진국 중앙은행들의 리플레 공조정책이 효과를 볼 것인지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이 우세하다.

디플레를 세계적 현상으로 보는 모건스탠리의 스티븐 로치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미국의 경우 늘어난 통화가 내구소비재나 주택건설 등에 집중되고 있다"며 "이들 부문은 지난 수년간 시장 자체가 포화 상태에 놓여 있기 때문에 리플레 정책의 효과는 한계를 보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미국에서 상품가격은 하락하고 있는 반면 교육 의료 등 서비스가격은 오히려 상승,과연 FRB가 리플레 정책을 써야 하는지에 대해 정책 당국자들간에 논란이 일고 있다고 아시안월스트리트저널은 전했다.

유영석 기자 yoo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