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발적인 사고나 재난에 직면하더라도 안정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게 보험이다. 보험은 미래의 불확실성을 대비하는 경제적 준비인 셈이다. 생명보험회사의 수입보험료 규모가 국내총생산(GDP)대비 13.1%에 달하고 우리나라 전국민의 80%이상이 생명보험 상품을 통해 각종 위험에 대한 보장을 받고 있을 정도로 이제 보험은 우리생활과 가장 밀접한 금융상품으로 자리잡았다. 보험에 대한 본질을 이해하고 다양한 혜택을 활용한다면 보험상품은 새해에도 우리 가정을 지켜주는 훌륭한 "버팀목" 역할을 할 것이다. 종신보험은 가정경제의 위험관리 수단=가정경제의 가장 큰 위험은 경제적으로 충분히 준비돼 있지 않은 시기에 가장이 일찍 사망하는 것이다. 종신보험은 이런 위험을 커버해준다. 종신보험은 사망보험으로 본인 사망시 고액의 보험금을 지급함으로써 유족들이 생활안정을 도모하는데 도움을 준다. 종신보험은 건강,암,재해 등을 보장하는 다양한 특약을 갖고 있어 이 상품 하나로 개인의 모든 보장을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노후에는 필요에 따라 연금으로 전환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보험료가 다소 비싸다는 단점이 있으나 각 보험사들이 새로운 경험생명표를 적용,작년 12월부터 종신보험의 보험료를 10~15%가량 인하하고 있기 때문에 가입자 부담이 적어졌다. 그러나 연령이 높아질 경우 보험료도 따라서 올라가므로 서둘러 가입하는 것이 유리하다. 보험을 활용한 세테크에도 관심을= 보험상품은 가입후 7년이상 계약을 유지할 경우 세금을 면제 받을 수 있다. 저축성보험에 가입한 후 7년이 경과하면 이자소득세를 내지 않아도 된다. 또 올해부터 보장성보험에 대한 보험료소득공제 한도가 70만원에서 1백만원으로 대폭 확대됐다. 따라서 과세표준이 2천70만원인 사람이 보장성보험료 공제를 받게 되면 세금을 18만원 절감할 수 있다. 이는 두달치 이상의 보험료를 돌려 받는 셈이다. 세제적격 개인연금 저축에 가입하면 연간 최고 2백40만원 까지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도 있다. 최근엔 종신보험을 활용한 상속세,증여세 절감법도 유행하고 있다. 종신보험은 피보험자 사망시 보험금이 지급된다. 이때 계약자와 보험수익자가 같을 경우 상속세가 발생하지 않는다. 맞벌이 부부는 각각 종신보험에 가입하면서 계약자와 수익자를 상대 배우자로 한다면 상속세는 물론 증여세 까지 면제받는다. 보험계약자와 수익자를 자녀명의로 해 상속세를 절감할 수도 있다. 변액보험은 저금리 시대의 투자 대안=변액보험은 계약자가 낸 보험료로 보험사가 펀드를 조성하고,그 펀드의 운용실적에 따라 계약자에게 투자이익을 배분함으로써 보험금과 해약환급금이 달라지는 보험상품이다. 현재 보험사에서 판매하고 있는 변액보험상품은 종신보험과 연금보험이 있다. 대한 삼성 교보 푸르덴셜 메트라이프 등의 생보사가 변액보험을 취급하고 있다. 변액보험은 주로 주식 채권 등 유가증권의 가치가 장기적으로 오를 것을 겨냥해 자산운용을 하기 때문에 자산을 장기적으로 굴리는데 유리하다. 그러나 투자 이익과 손실에 대한 책임을 계약자가 부담하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가입에 앞서 보험사 경영상태,자산운용능력,주식시장과 채권시장의 동향 등을 꼼꼼히 살펴야 한다. 전문가들은 "변액보험은 일정한 위험을 감수하면서 은행 예금 이상의 수익과 위험보장을 동시에 받고자 하는 금융 소비자에게 유용한 투자수단"이라고 말한다. 소액급전대출은 보험상품 이용=최근 정부가 각종 가계대출 억제 대책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이에 따라 은행은 물론 제2금융회사들도 가계대출을 줄이고 있어 서민들이 급전을 구하는데 애를 먹고 있다. 하지만 보험에 가입한 사람은 약관대출을 이용해 신용카드보다 훨씬 낮은 이자로 손쉽게 대출을 받을 수 있다. 약관대출이란 보험가입자가 보험계약의 해약환급금 범위에서 받는 대출을 말한다. 필요한 소액 급전을 마련하기에 안성맞춤이다. 대출금액은 회사마다 차이가 있지만 해약환급금의 80~95% 까지로 돼 있다. 신청즉시 받을 수 있는게 장점이다. 대부분 만기일시 또는 자유상환 방식이기 때문에 유동성 문제가 해결되는 즉시 갚아버릴 수 있다. 이럴 경우 실제 사용기간 만큼만 이자가 계산되므로 별다른 부담없이 자금을 융통할 수 있다. 이성태 기자 ste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