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부터 들먹이고 있는 물가동향이 심상치 않다. 해가 바뀌면 으레 공공요금 등록금 등이 줄줄이 인상되고 설을 전후해 농축산물값도 오르게 마련이지만,올해엔 국제유가마저 크게 오르는 바람에 자칫 물가안정기조가 흔들리지 않을까 걱정된다. 수입원유의 대부분을 지역정세가 극히 불안정한 중동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로서는 만약의 사태에 철저히 대비해야 마땅하다. 당장 물가안정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은 국제유가 불안임에 틀림없다. 국내 수입원유의 주종을 이루고 있는 두바이유 값이 작년초 배럴당 20달러에서 현재는 27달러선에 육박하고 있는 것만 봐도 그렇다. 이같은 국제유가 폭등은 미·이라크 전쟁이 임박한데다 베네수엘라 파업사태까지 겹친 탓이지만,예상대로 전쟁이 단기간에 끝난다고 해도 유가안정을 장담하긴 이르다. 중동뿐만 아니라 석유수출국기구(OPEC) 내부사정도 복잡해 어떤 돌발사태가 발생할지 모르기 때문이다. 정부는 우선 원유비축량을 대폭 늘리고 에너지소비 절약을 강화하는 동시에,국제유가 상승에 편승한 국내 정유사들의 변칙적인 가격인상을 차단해야 할 것이다. 물가안정을 위협하는 또다른 주요 요인으로 공공요금 인상과 부동산값 상승을 꼽을 수 있다. 특히 지난 수년간 공산품값이 거의 오르지 않거나 오히려 떨어지고 있는 마당에,각종 공공요금이 해마다 인상되는 이유를 납득하기 어렵다. 정부당국은 잦은 공공요금 인상의 원인이 공기업의 방만한 경영에 있지는 않은지 철저히 점검하고, 강력한 경영혁신과 구조조정을 통해 공공요금 인상요인을 최대한 자체적으로 흡수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농축산물 가격안정을 위해 복잡한 유통단계를 축소하고 폐쇄적인 유통구조를 개방하는 동시에 주요 생필품 가격담합, 잠복해 있는 부동산 투기세력 등을 강력히 단속해야 옳다. 원화강세 저금리 등 물가안정에 긍정적인 경제변수들을 최대한 활용해야 함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