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투데이] '인간복제' 세심한 규제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The Economist 본사 독점전재 ]
두 개의 그룹이 인간복제에 성공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클로네이드사는 지난해 12월27일 최초의 복제인간인 여자아기 '이브'가 탄생했다고 발표했다.
이탈리아의 세베리노 안티노리 박사도 이달 말께 복제인간이 탄생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전문가들은 두 그룹의 주장을 믿지 않는 분위기나,이들의 주장이 허황된 것이라 판명나더라도 또 다른 연구가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각국 정부들은 생식을 목적으로 한 인간 복제를 규제할 수 있는 법안 마련을 서두르고 있다.
1997년 복제양 돌리가 탄생한 이래 복제인간의 탄생은 기정사실화됐다.
문제는 '언제 그것이 현실화될까'였다.
그런데도 각국 정부는 그간 관련 법률 제정에 늑장을 부려왔다.
유엔은 인간복제에 관한 국제협약 체결을 추진했으나 실패하고 말았다.
이브 탄생 이후 다시 인간 복제를 금지하는 국제협약을 마련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지만 국제협약의 속성상 이는 몇년의 기간을 필요로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문제와 관련해 매우 단순한 입장을 갖고 있다.
인간복제를 금지해야 한다는 게 그것이다.
인간복제가 일으킬 수 있는 실제적인 위험성 때문이다.
의학적 관점에서 볼 때 인간복제시 사용되는 체세포복제는 많은 위험을 안고 있다.
그간 체세포 복제를 통해 탄생한 동물 중 다수는 죽거나 합병증에 시달렸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아직 이에 대한 원인규명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인간복제는 무모한 일임에 틀림 없다.
윤리적인 측면에서 인간복제에 반대하는 이들도 많다.
인간복제는 신의 고유권한을 빼앗는 행위라는 것이다.
종교계가 대표적이다.
이들은 인간복제뿐 아니라 시험관 아기에 대해서도 이같은 이유로 반대했다.
무신론자들도 "복제인간은 인간의 존엄성을 파괴시킬 수 있다"며 반대하고 있다.
똑같은 인간이 무차별적으로 태어날 경우 사람들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고유성이 위협 받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이유들만으로 인간복제를 무차별적으로 금지하는 것은 현명치 못한 판단이다.
무조건적인 금지는 더 큰 위험을 야기할 수 있다.
인간복제를 강압적으로 금지할 경우 음성적인 연구를 부추겨 인간복제연구 과정을 전혀 통제할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볼 때 세심한 규제가 인간복제의 위험을 막을 수 있는 최상의 정책이다.
규제 당국의 허가를 받은 사람들이 엄격한 통제하에서 인간 복제를 진행토록 한다면 많은 사람들이 우려하는 점들을 최소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것도 체세포복제가 야기할 수 있는 의학적인 문제들이 완벽히 해결된 이후라야 한다.
의학적인 문제들이 해결된다면 윤리적 차원의 반대도 그 설득력을 현저히 잃게 될 것이다.
인간복제를 통해 건강한 인간 탄생이 가능해질 경우 인간이 얻을 수 있는 행복 또한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불임으로 고통받고 있는 부부들이나 부모 중 한명이 치명적인 유전적 결함이 있어 아이를 가지지 못하는 부부들에게는 인간복제만이 유일한 해결책이다.
공급에 대한 금지조치가 수요를 막을 수 없다는 것을 우리는 이미 마약과의 전쟁에서 배웠다.
따라서 각국 정부들은 인간 복제가 공개적인 검증과정을 통해 전문가들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정책 목표를 두어야 할 것이다.
정리=김동윤 기자 oasis93@hankyung.com
--------------------------------------------------------------
◇이 글은 이코노미스트지 최신호(1월5일자)에 실린 'How far to go'란 칼럼을 정리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