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지역경제] 부산 : 동북아 물류허브로 '발돋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부산이 계미년을 맞아 서부산권 개발에 총력전을 펼치고 나섰다.
이 지역에는 미래 부산 산업의 중추적 역할을 맡을 사업들이 몰려 착착 진행되고 있다.
부산 신항에 이어 경제특구가 들어서고 있는데다 지역내외의 산업클러스터가 추진되는 등 국제비즈니스 물류 거점도시로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여기에다 부산의 중추적 제조산업들이 녹산과 신호공단에 입주, 부산경제를 이끌고 있다.
지사과학산업단지, 유통단지도 예정돼 부산을 환태평양 중심도시로 도약시켜 나가는 메카 역할을 준비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특구로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도시로 도약한다 =21세기 아시아 지역의 허브(거점)를 선점하기 위한 나라간 경쟁이 치열하다.
중국의 상하이와 홍콩, 싱가포르 등이 이미 경쟁 대열에 뛰어들었다.
이에 맞서 부산은 서부산권에 오는 2011년까지 30선석의 신항을 개발하고 경남지역을 포함해 2천5백24만평의 배후지를 경제특구지역로 개발할 것을 준비중이다.
성공 여부는 외국 대기업이나 다국적 기업의 본부 및 물류센터, 외국선박을 얼마나 끌어들이냐에 달려 있다.
정부가 마련한 경제자유구역법도 바로 이런 점에 착안했다.
해외 기업들이 자유롭게 활동하도록 여건을 만들어 부산이 동북아 비즈니스의 허브지역으로 도약하겠다는 것이다.
부산시는 현재 경제특구 지정을 정부에 신청한 상태다.
정부는 현재 실시중인 용역결과를 토대로 오는 7월 경제특구를 최종 지정한다.
이곳에 입주하는 외국기업은 민원서류를 영어로 접수하고 외국통화 사용 허용 외국인 의료서비스 외국방송 진출 외국인 주거단지 조성 외국인학교 국고 지원 등의 혜택을 누린다.
허남식 부산시 기획관리실장은 "부산의 외자유치, 물류사업 등 주요한 모든 문제들이 경제특구 계획에 담겨져 있다"며 "경제특구 성공 여부가 부산의 미래를 좌우할 것"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그는 동북아 해상물류 및 국제비즈니스 거점 육성 울산 창원 마산 등의 산업기능 지원 동북아 해양관광 거점 등 세가지 방향으로 경제특구 조성에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동북아 중심 국가의 청사진은 거창하지만 막대한 재원 조달 등 넘어야 할 과제가 많다.
20여년에 걸친 장기적 추진과제임을 감안할 때 기본 청사진이 원안대로 실현될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개발비용도 과도한 부담이 될 수 있다.
공시지가의 상승을 막기 위해서는 지자체와의 협조가 필수적이고, 이미 땅값이 오른 일부 지역은 투기과열지구 혹은 토지거래 허가구역으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서부산권을 광역권 개발 전초기지로 개발한다 =서부산권에 위치한 신호공단에는 르노삼성자동차가 들어서 울산, 창원을 잇는 자동차산업 광역망을 형성하고 있다.
경남과 울산을 잇는 산업벨트를 조성하고 있다.
부산시는 녹산과 신호공단을 현재 조성중인 지사과학산업단지와 연계, 기계산업은 물론 다양한 첨단산업의 광역 기지망을 구축해 시너지 효과를 높여 나갈 계획이다.
2007년까지 강서구 대저동 일원 27만평에 국제유통단지도 조성, 배송시설과 화물터미널 시설, 농수산물 수출지원시설 등을 갖출 계획이다.
녹산공단에는 벌써 조선기자재 및 신발단지 등이 들어서 사실상 클러스터의 기본을 갖추고 있는 만큼 부산시는 효율성을 높이는데 힘을 쏟을 계획이다.
이대식 부산대 교수는 "지역 산업클러스터는 중앙 정부 의존적인 인프라 개선 외에는 재도약의 기회를 잡지 못했다"고 지적하고, "홀로서기를 위해서 2,3개 분야라도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클러스터를 가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클러스터 형성에 초점을 맞춰 지역산업정책을 세우고 대학과 기업, 연구소 등 경제주체들이 힘을 합쳐 산업을 조직적으로 움직여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