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정부의 벤처정책이 직접지원보다는 간접지원 쪽으로 방향을 틀고 있다. 또 벤처정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시장논리에 의한 선별육성을 펼 것으로 보인다. 벤처캐피털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는 얘기다. 곽성신 벤처캐피털협회 회장은 "국내 벤처산업이 질적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정부주도의 벤처정책이 일정부분 수정돼야 한다"며 "벤처캐피털을 통한 적정한 자원배분이야말로 벤처 재도약을 위한 해법"이라고 강조했다. 벤처캐피털도 윤리강령을 선포하는 등 자체 자정작업을 통해 변신을 시도하고 있다. 곽 회장은 "지난해 선포한 윤리강령을 각 벤처캐피털들이 복무기준으로 채택하도록 적극 유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리강령을 채택하고 모범적으로 실천하는 업체엔 투자조합을 결성할 때 우선권을 부여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벤처캐피털들의 수익성을 확보하는 문제도 중요한 과제다. 곽 회장은 "수익원이 기업공개(IPO)에 한정되다보니 증시흐름에 따라 벤처캐피털의 부침이 심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기업인수합병(M&A)시장이 벤처캐피털이 수익모델을 보완할 활로로 제시됐다. 곽 회장은 "M&A시장의 활성화는 벤처캐피털 업계뿐만 아니라 벤처산업 전반의 활력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본금과 차입금을 통한 투자비중을 줄이고 조합투자가 더욱 활성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국내 벤처캐피털의 전체 투자재원 중 70%가량이 각 회사의 자본금이나 차입금을 통해 투자되고 있다. 전체 30%가량이 조합결성을 통한 재원이다. 이렇다 보니 평균 투자기간이 짧고 증시의 활황여부가 벤처캐피털의 수익성을 좌우하는 악순환을 낳게 된다는 것이다. 곽 회장은 "국내 벤처캐피털에 비해 미국 등의 벤처캐피털들은 순수한 조합운용과 관리자로 그 역할을 한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벤처캐피털협회는 올해 해외 벤처캐피털들의 조합결성과 투자운용기준 등을 벤치마킹해 국제적인 조합운용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손성태 기자 mrhan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