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개혁특위는 7일 서울시내 한 호텔에서 워크숍을 열어 당의 발전적 해체와 차기 전당대회 개최방안,중앙당·지구당 축소,대의원구조 개선과 이를 통한 상향식 공천 등 당 개혁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워크숍에는 김원기 위원장 등 특위위원 30명이 참여,새지도부 선출방식과 차기 전당대회 개최방향을 놓고 신·구주류간 열띤 토론을 벌였다. 이종걸 의원은 발제를 통해 "중앙당을 축소하면 선거조직 형태의 지구당은 자연스럽게 연락사무소로 역할이 바뀌고,기존 상근당원은 원내로 들어가 정책정당을 꾸릴 수 있다"며 당 사무처 축소와 대변인제 폐지를 제안했다. 또 각 시·도별로 2명씩 50명 안팎의 집행위원회를 구성,위원장을 호선해 당을 대표하게 해야 한다고 밝혔다. 송영길 의원은 "현 지도부의 살신성인하는 자세가 필요하며 비상지도체제를 구축하고 당 해체를 선언해야 한다"며 "노무현 당선자 취임전 1차 전당대회를 열어 국민참여를 통해 대의원 구성을 혁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환골탈태하는 모습으로 문호를 개방해서 신당 창당 수준으로 2차 전대를 열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신기남 의원은 "대선 이후 영남권은 다시 한나라당 지지세가 결집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며 "영남 의석 확보와 당의 발전적 해체를 위해서는 사람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구주류측 박양수 의원은 "전대를 2번에 나눠 치르는 것은 당력을 소모할 뿐"이라며 "우선 당 개혁안을 당무회의에서 통과시키고 3∼4월쯤 전대를 열어 새 지도부를 선출해야 한다"고 반대했다. 이협 의원은 "당 개혁이 헤게모니 싸움으로 비쳐져서는 안된다"며 "지난 대선에서 우리를 반대한 50%의 유권자를 감안해 국민통합과 함께 개혁의 속도조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종호 기자 rumb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