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시간으로 지난 8일 미국 백악관에서 열린 첫 미·일 정상회담에서 ‘일본이 선방했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의 ‘거래의 기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시바 총리는 대미 투자 확대와 ‘오모테나시’(마음을 다한 환대)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환심을 사는 데 성공하며 관세, 방위비 증액 등 일본 입장에서 민감한 문제를 일단 피했고 안보에서도 실리를 챙겼다. 금빛 사무라이 투구 선물미·일 정상은 공동성명에서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을 유지하고 미·일 관계의 새로운 황금시대를 추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미·일 황금시대’는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사에서 “미국의 황금시대는 이제 시작된다”고 한 데서 따왔다. 이시바 총리는 자신의 지역구인 돗토리현 인형 가게에서 제작한 금빛 사무라이 투구 장식을 선물하기도 했다. 투구 가격은 16만8000엔(약 162만원)으로 영원한 빛을 발하라는 마음이 담겨 있다고 한다. 총리 관저 관계자는 니혼TV에 “트럼프 대통령뿐만 아니라 손자들도 기뻐하는 선물일 것”이라고 말했다. 손자들까지 염두에 두고 골랐다는 것이다.이시바 총리는 ‘선물 보따리’도 대거 풀었다. 양국 정상은 공동성명에서 ‘미국에서 일본으로 액화천연가스(LNG) 수출을 늘린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은 머지않아 역사에 남을 기록적인 양의 미국산 천연가스 수입을 시작할 것”이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이시바 총리는 일본의 대미 투자를 1조달러까지 끌어올리겠다고도 했다. 일본의 대미 투자 잔액은 2023년 기준 7833억달러로, 2019년 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7일 기자들과 만나 이번주에 ‘상호관세’를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구체적인 내용은 언급하지 않은 채 이 조치가 “모두에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다.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들에게 “다음주에 상호 무역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라며 “이는 우리가 다른 나라들과 동등하게 대우받기 위함이며, 우리는 더 많거나 적은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월요일이나 화요일에 “이 문제에 대한 회의를 열 계획”이라고 설명했다.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가 지난해 자신이 유세 때 주장한 10~20% 보편관세를 대체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것이 유일하게 공정한 방법이며, 이렇게 하면 아무도 상처받지 않는다”고 했다. 특히 자동차 부문이 대상이 될 수 있다고 했다.이는 미국이 일방적으로 다른 나라에 보편관세를 부과하는 대신 다른 나라가 미국에 부과하는 관세만큼 미국도 상응하는 관세를 매기겠다는 취지다. 트럼프 대통령이 2023년 발표한 ‘아젠다47’에도 관련 내용이 있다. 아젠다47은 “외국이 미국 상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면 미국도 동일 수준의 관세를 부과하는 권한을 대통령에게 부여해야 한다”며 “현재 미국 관세율은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며 이로 인해 수입 압력이 가장 큰 국가가 됐다”고 지적했다. 대표적 사례로 중국과 유럽연합(EU)을 꼽았다. 아젠다47은 모두에게 기본적인 보편관세를 부과하면서 상호관세를 추가로 더 운용하는 시스템을 제안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보편관세 없는 상호관세로 기운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일 정상회담을 통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원칙을 확인했다. 한·미·일 3각 공조 기조를 이어가겠다는 뜻도 밝혔다. 외교가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협상을 위해 북한 비핵화 목표를 일부 수정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는데, 이에 대해 선을 그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트럼프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지난 7일 공동성명을 통해 “두 정상은 북한의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에 대한 심각한 우려와 해결 필요성을 밝히고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단호한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지난달 20일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방향성이 미국의 공식 외교 문서에 포함된 것은 처음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당일 북한을 ‘핵보유국(nuclear power)’으로 칭했고, 이후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북한 핵을 용인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됐다.한국의 역할도 강조했다. 두 정상은 “양국은 북한에 대응하고 지역 평화와 번영 수호하는 데에 한·미·일 3자 파트너십의 중요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한국 외교부는 이에 대해 “미·일이 정상회담을 계기로 밝힌 입장은 우리의 대북정책 방향과 일치한다”고 했다.다만 북한과의 협상을 이어가겠다는 의지는 재확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 김정은과 관계를 맺을 것”이라며 “북한 및 김정은과의 좋은 관계는 모두에게 매우 큰 자산”이라고 말했다.북한은 이날 미·일 정상회담과 관련해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다만 조선중앙통신은 최근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