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만 통일.외교.안보분과 위원(상지대 교수)은 "햇볕정책이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달성하기 위한 유일한 해법"이라고 말한다. 북한을 국제사회로 끌어들이고 경제재건을 위해 지원하는 것만이 북핵문제를 해결하고 동북아 평화체제를 구축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서 위원은 박건영(가톨릭대) 이종석(성균관대) 교수 등과 함께 발간한 '한반도 평화보고서'(한울.2002년)에서 "한반도문제 해결의 관건은 북한의 경제위기로 인한 체제 불안"이라고 정의했다. 그가 해법으로 제시한 △조건 없는 인도적 지원과 수익성 원칙에 따른 민간경협 추진 △금강산 관광사업을 평화사업으로 전환해 정부가 주도 △대북 전력지원 등은 북한에 대한 경제지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탈북자 문제에 대해서도 "북한에 대한 경제지원을 저해하지 않는 수준"으로 해결해야 한다는게 그의 지론이다. "탈북자 사태가 대량으로 발생할 가능성을 고려한다면 북한의 경제 재건까지 시야에 넣은 남북 화해협력 외에 다른 대안이 없다"(한국일보 2002년 3월)는 그의 언급에서 '북한의 경제위기 해소'를 얼마나 중시하는지 엿볼 수 있다. 서 위원은 북한을 불필요하게 자극할 필요가 없다는 견해를 보이고 있다. 북한을 주적(主敵)으로 명기할 것인지에 대해 "95년 악화됐던 남북관계와 국내 보수여론을 의식해 (주적 개념이) 새로 들어간 것으로 원래부터 있었던 것은 아니다"며 "전세계적으로 주적을 대외적으로 명시하는 나라는 어디에도 없다"(경향신문 2002년 5월2일)고 말했다. 부시 미국대통령의 대북정책에도 반대하고 있다. "부시 정부는 북한의 핵개발 계획에 관해 정확히 확인할 의무가 있다. 북한은 미국과의 대립을 자초할 처지가 아니며 그럴 의도를 가진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경향신문 2002년 10월), "(악의 축이나 독재체제라는) 표현은 결코 협상을 통해 관계를 진전시키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경향신문 2002년 2월)고 비판했다. 김정일 정권과 북한주민을 분리해 대처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하지 않겠다는 것이나 다름없다"(대한매일 2002년 3월)고 반대하고 있다. ----------------------------------------------------------------- 약력 1956년생 경기고(75년) 서울대 정치학과(81년) 도쿄대 종합문화연구과 국제관계론 석사(90년).박사(95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객원연구위원(95~97년) 외교안보연구원 교수(97~2001년) 상지대 교양학부 교수(2001년~현재) 주요 논문 북한 사회주의체제의 성립(박사논문.95년) 북한농업집단화 연구(95년) 북한 당.군관계 연구, 일본의 행정개혁(97년) 일본의 재정개혁(98년) 일본의 금융개혁(99년) 동북아시아 안보협력의 현황과 전망, 북한연구방법론, 북한 연방제의 변화(2000년) 북.일 수교의 전망과 대응 북미.북일관계의 변화와 대응(2001년) 주요 저서 한반도 평화보고서(2002년) 한국전쟁(역서.와다 하루키.2001년) 현승윤 기자 hyuns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