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위기는 북한과 미국간의 '양자문제'가 아니라 '국제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핵심 구성원들이 책임을 지도록함으로써만 해결될 수 있다고 미국의 경제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 인터넷판이 15일 주장했다. 이 신문은 '북한은 국제문제'라는 제목의 논평기사를 통해 조지 W. 부시 행정부가 부주의(不注意)로 클린턴 행정부 스타일의 대북협상에 휩쓸려들 위험에 처해 있다면서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부시 행정부가 취해야할 올바른 접근법은 대북직접협상이 아니라 북한에 의해 사찰요원들이 비방당하고 쫓겨난 국제원자력기구(IAEA)를 지원해 IAEA가 북한의 핵확산금지조약(NPT) 위반을 유엔 안보리에 보고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이 신문은 밝혔다. 핵무기와 장거리 미사일을 보유한 악의적인 군국주의 국가가 NPT를 위반한 상황은 '국제적인 문제'라는 것이 이 신문의 주장이다. 월스트리트저널의 이같은 논평은 대북 강경론을 고집해 왔던 부시 대통령이 최근 잇단 유화제스처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으로 미국내 강경파들의 입장을 담은 것으로 보인다. 이 신문은 미국이 북핵사태를 미국만의 문제로 생각하는 한 다른 나라들은 사태해결을 돕기보다는 미국의 협상입지를 미묘하게 훼손하는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다른 열강들은 북한이 핵국가로 등장하는 상황도 원치않지만 미국이 최선두에 나서는 것 역시 바라지 않기 때문에 현재의 북한위기에 대한 책임이 부시 행정부에 있다고 서슴없이 비난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신문은 따라서 미국은 IAEA와 NPT의 틀을 통한 다자구도 아래로 북핵문제를 가져가야하며 부시 행정부가 이라크에 주의를 집중해야한다는 이유로 IAEA에 최악의 위반국을 느슨하게 처리하라고 말한다면 후일의 역사는 이를 냉혹하게 평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lc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