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 말기를 맞아 부동산 개발사업권을 미끼로 거액을 요구하는 전문 브로커들이 활개를 치고 있다. 이들 브로커는 사업 인·허가를 해결해주는 대가로 리베이트를 요구하는 전형적인 부동산개발사기 수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들은 교육시설,종교시설,시유지,국공유지 등 서울 요지의 대형 땅들을 개발 예정지로 언급하며 개발사업자들을 유혹하고 있다. 단골메뉴가 되다시피 한 역삼동 진선여고에 이어 도곡동 숙명여고,창동역앞 운동장 부지(서울시 체비지) 등이 자주 등장한다. 최근에는 번동 드림랜드 부지 이전계획설을 들고 나오는 브로커도 나타났다. 용도변경을 거쳐야 하는 땅들인 데다 실제로 시설이전 계획이 없어 브로커들의 주장은 실현 가능성이 희박한 것으로 업계 관계자들은 지적하고 있다. 한 개발업체 관계자는 "정치권과 이야기가 다 끝났고 돈만 주면 인·허가가 곧 나온다는 감언이설로 속인다"며 "청와대 및 서울시를 들먹이는 상투적인 수법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들 부동산 브로커는 변변한 사무실도 없어 주로 호텔 커피숍 등에서 은밀히 만나자고 제의해온다"고 덧붙였다. 특히 정치권 주변에 기생하는 브로커들은 권력 실세들의 비자금 조성 등을 운운하며 사기행각을 벌이고 있다. 계약금으로 1백억원을 요구하는 사례도 있다. 사무실 간판은 '한국' '통일' '통합' 등 거창한 어휘가 들어가는 게 공통점이다. 업계 관계자는 "정권이 바뀔 때면 되풀이되는 부동산개발사기 행각이 올해도 재현되고 있다"며 "심지어 일반인에게도 접근하는 경우가 더러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