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伊 타르비시오 동계U대회] '한국 스키점프 현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의 스키 점프가 세계 규모의 동계 국제종합대회에서 사상 처음으로 금메달을 따내는 이변을 연출했다.
지금까지 한국은 동계종목에서는 쇼트트랙을 제외하고는 금메달을 구경조차 하기 힘들 정도로 국제무대에서 부진을 면치 못했다.
그러나 한국 스키 점프의 막내인 강칠구가 스키 점프 K90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고 단체전에서도 금메달을 추가하며 한국 동계스포츠의 새 역사를 썼다.
한국 스키 점프는 지난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올림픽 K120 단체전에서 8위를 차지하면서 '타르비시오의 기적'을 예고했다.
등록선수가 7명에 불과한 한국은 그나마 국제대회에 출전할 기량을 갖춘 선수가 5명밖에 없다.
그러나 '스키 점프 5총사'인 최흥철 김현기 최용직 김흥수,그리고 차세대 스타 강칠구는 똘똘 뭉친 조직력으로 열악한 환경을 극복해냈다.
사실 일본의 경우 1천명의 선수가 활동하고 대부분 유럽 국가도 1천명 이상의 선수를 보유하는 등 선수층이 두터워 비록 유니버시아드대회라고 하더라도 한국팀의 금메달은 거의 기적에 가까운 성적이다.
아울러 점프대도 한국은 96년 유니버시아드대회를 위해 무주에 설치한 것이 유일하다.
강칠구는 "우승은 생각지도 못했다"면서 "이번 우승을 계기로 열악한 환경의 한국 스키 점프가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국 스키 점프 대표팀은 지난해부터 기아자동차와 스폰서 계약을 맺고 매년 1억5천만원의 지원을 받고 유럽에서 전지훈련을 실시하고 있지만 추가 지원이 절실한 형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