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 당선자가 공약으로 내세운 '과학기술특구' 지정문제를 놓고 주무부처인 과학기술부와 산업자원부가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22일 과학기술계에 따르면 과학기술부가 대덕 오송 등 6개 지역의 과학기술 특구 지정방침에 맞춰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추진하고 있자 산업집적단지인 클러스터(cluster) 구축사업을 벌이고 있는 산업자원부가 중복 투자 등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산자부는 지난해 말 개정된 '산업집적 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오는 9월까지 생산,연구개발,기업지원 시설을 한데 모은 집적지 개념의 산업 클러스터구축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문제는 과기특구와 산업클러스터가 지역·산업적인 측면에서 겹치는 부분이 많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산자부가 과기부와의 업무 중복 등을 우려해 과기특구에 곱지 않은 눈길을 보내고 있는 것이다. 산자부는 충남의 정보기술(IT)산업 및 충북 바이오기술(BT)의 생산기능과 대전의 연구개발·기업지원 기능을 묶는 광역 클러스터 등을 구상하고 있다. 이에 대해 과기부는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해 대덕연구단지 등 전국의 10여개 과학단지를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산업 클러스터는 기초적인 연구개발보다는 당장 상품 생산에 필요한 기술을 우선으로 하기 때문에 과기부의 구상과는 다른 것으로 평가된다"면서도 "중복투자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과기부 측에서는 "과기특구 추진과정에서 산자부와의 충돌이 어느 정도 불가피한 게 사실"이라며 "지역·산업 중복문제는 협조해 풀어가겠다"고 밝혔다. 송대섭 기자 dssong@hankyung.com